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교육

윤석열 정부 1년차 사교육비 26조원 ‘역대 최대’

등록 2023-03-07 12:27수정 2023-03-07 16:35

2022년 교육부·통계청 사교육비 통계 발표
학생 사교육 참여율도 78.3%
2007년 조사 시작 이후 최고
2021년 12월 9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학원 밀집 상가 내 계단. 연합뉴스
2021년 12월 9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학원 밀집 상가 내 계단. 연합뉴스

윤석열 정부 1년 차였던 지난해 초·중·고 학생의 사교육비 총액이 26조원으로 2007년 조사 이래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코로나19 유행 초기 다소 줄었던 사교육비 총액은 2021년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 이상으로 반등해 ‘역대 최대’였는데, 이 기록을 지난해 다시 갈아치웠다. 소득 수준별 사교육 지출 격차도 전년에 견줘 더 벌어졌다.

8일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사교육비 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초·중·고 학생이 쓴 사교육비 총액은 26조원으로 2021년 23조4000억원에 견줘 10.8% 증가했다. 지난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1%로, 사교육비 증가율이 물가 상승률의 2배에 달한 셈이다.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도 조사 이래 역대 최대였다. 사교육 참여 학생들만 놓고 보면 1인당 월평균 52만4000원을 썼는데, 2021년 48만5000원에서 7.9% 상승해 역대 처음으로 50만원을 돌파했다. 사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을 포함한 전체 학생 기준으로는 1인당 월평균 41만원으로 2021년에 견줘 11.8% 증가했다.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율도 78.3%를 기록해, 2007년 조사 첫해 77% 이후 최고치였다. 특히 초·중·고 학생 수는 2021년 532만명에서 2022년 528만명으로 감소했으나, 사교육비 총액과 참여율은 동시에 올랐다.

학교급별 사교육비를 살펴보면 초등학교가 11조9000원으로 가장 많았고, 중학교 7조1000억원, 고등학교 7조원 순이었다. 사교육 참여율 역시 초등학교 85.2%, 중학교 76.2%, 고등학교 66% 순이었다. 하지만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고등학생의 경우 전체 학생 기준 46만원, 사교육 참여 학생 기준 69만7000원으로 가장 많았다. 중학생은 전체 학생 기준 43만8000원, 참여 학생 기준 57만5000원이었고 초등학생은 각각 37만2000원, 43만7000원을 썼다. 가장 많은 사교육비를 지출한 학년은 고등학교 1학년으로 참여 학생 기준 70만6000원을 썼다. 국어·영어·수학·사회·과학 등 일반 교과로 좁혀보면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전체 학생 기준 31만원, 참여 학생 기준 49만원으로 2021년 28만1000원, 46만원에 견줘 각각 10.2%, 6.5% 증가했다.

고소득층과 저소득층 가구의 사교육비 지출 격차는 2021년 5.1배에서 5.2배로 벌어져 교육 양극화 현상이 더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월 소득 800만원 이상 가구는 월평균 64만8000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했지만 월 200만원 미만 가구는 12만4000원을 썼다. 이 밖에 월평균 70만원 이상 사교육비를 지출한 학생 비중은 19.1%로 전년(15.8%) 대비 3.3%포인트 증가해 20%에 육박했다. 사교육을 아예 받지 않는다는 응답은 2021년 24.5%에서 지난해 21.7%로 2.8%포인트 감소해 더 많은 학생이 사교육에 뛰어들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교육부는 이번 조사 결과를 분석한 뒤, 올해 상반기 안에 사교육비 경감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경찰 내부서도 “개판”…내란수사 대상에 맡긴 서울청 파문 1.

경찰 내부서도 “개판”…내란수사 대상에 맡긴 서울청 파문

연세대서 일부 학생 ‘윤석열 옹호’ 시국선언…“부끄러워” 2.

연세대서 일부 학생 ‘윤석열 옹호’ 시국선언…“부끄러워”

서부지법 난입·난동 63명 재판행…검찰 “중대한 범죄” 3.

서부지법 난입·난동 63명 재판행…검찰 “중대한 범죄”

전한길, 부정선거 근거 묻자 답 못해…음모론을 음모론으로 덮어 4.

전한길, 부정선거 근거 묻자 답 못해…음모론을 음모론으로 덮어

윤석열 지지자들 인권위 난동…“이재명·시진핑 욕해봐” 5.

윤석열 지지자들 인권위 난동…“이재명·시진핑 욕해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