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1일 오전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재유행 정점 시기와 2학기 개학 시기가 맞물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정부가 2학기에도 전국 유·초·중·고와 특수학교에서 정상 등교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박순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4일 오전 10시30분 교육부 세종청사에서 ‘2학기 방역·학사운영 방안’을 발표하고 “2학기 모든 학교가 철저한 방역 수칙을 준수하며 정상 등교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다만, 코로나19 감염 상황이 심각해지면 시·도교육청과 학교의 자체 기준에 따라 학급·학년 단위의 탄력적 학사 운영이 가능하다.
앞서,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재유행 정점 시기를 8월 중·하순으로 전망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전국 1만2000여개 초·중·고교 중 오는 15~19일 약 5064개교(42%), 22~26일 약 4542개교(38%)가 개학한다.
교육부는 개학 전 1주일과 개학 후 2주일 등 총 3주를 ‘집중방역점검기간’으로 운영한다. 코로나19 증상이 있을 때 신속한 검사가 가능하도록 개학 후 모든 학생과 교직원에게 신속항원검사(RAT) 키트를 2개씩 지급한다. 1학기에 이뤄졌던 등교 전 선제검사는 2학기에는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선제검사보다는 유증상자에 대해서 신속하게 대응하는 게 좋겠다는 전문가 자문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또 이 기간 교육부는 교육청과 협력해 학교 방역 실태를 점검하고, 방역 전담 인력 6만명과 손소독제와 체온계 등 방역 물품을 확충할 계획이다.
2학기에도 확진 학생은 7일 동안 등교 중지된다. 확진 학생의 2학기 중간·기말고사 응시는 최대한 지원하되, 구체적인 내용은 교육부가 교육청, 방역 당국과의 협의를 거친 뒤 오는 9월 최종 결정한다. 이 밖에 학생들이 자신의 건강상태를 진단해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하는 자가진단앱 사용과 실내 마스크 착용 등의 방침은 2학기에도 유지된다. 각 학교에서 수학여행 등 숙박형 체험활동을 진행할 경우, 학교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계약을 변경하거나 일정 조정을 할 수 있도록 교육청이 운영 지침을 보완해 안내할 예정이다.
한편, 대학도 대면 수업을 원칙으로 하고 대면 수업이 어려운 경우 원격 수업이나 출석 대체 과제 등의 방안을 활용한다. 개강 전·후 3주간 집중방역점검기간으로 운영해 강의실, 실험실, 도서관 열람실, 기숙사 등 다중이용시설의 방역을 중점적으로 관리할 예정이다.
김민제 기자
summ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