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전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늘(14일)부터 동거인이 코로나19에 확진됐더라도, 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학생·교직원은 학교에 갈 수 있다. 교육부가 탄력적 학사 운영 기간을 연장함에 따라, 학교들은 다음주에도 단축수업이나 원격수업을 재량껏 결정한다.
13일 교육부는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됨에 따라 11일 종료된 ‘새학기 적응 주간’에 적용했던 학사운영 방침을 당분간 유지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달 21일 교육부는 “3월2일부터 11일까지를 ‘새학기 적응주간’으로 정하고, 이 기간 동안에는 앞서 교육부가 제시한 학사운영 참고지표(교내 하루 신규 확진자 전교생 3%·등교중지 학생 15%)를 충족하지 않더라도 지역별 감염상황 등을 고려해 학교장 판단으로 신속하게 전면 원격수업으로 전환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새학기 적응 주간은 끝났지만 오미크론 유행 ‘정점’에는 아직 도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당분간 이 방침을 유지하기로 한 것이다. 교육부는 오미크론 유행 확산세가 꺾이면 학사운영에 관한 추가 지침을 안내할 예정이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학교 현장에서는 지침을 두고 혼란이 계속되는 모양새다. 경기도에서 초등학교 5학년 담임을 맡고 있는 교사 김아무개씨는 “교육당국의 지침은 수시로 바뀌는데 모든 학부모의 입맛에 맞춰 의견을 수렴하기 힘들다. 학교 차원에서 나름대로 방침을 설정하더라도 학부모들이 교육청에 민원을 넣으면, 교육청은 학교 의견에 힘을 실어주지 않고 민원에 맞추라는 식”이라고 토로했다. 교사 커뮤니티에는 “코로나 3년차가 됐는데 고생은 가장 심한 수준이다. 학부모의 질문과 민원은 주말까지 쏟아지는데 방침이 애매해 학교에 물어보면 ‘논의해보겠다’는 식이다”는 글이 올라오기도 했다. 학부모들도 답답하긴 마찬가지다. 학부모 커뮤니티에는 “설문조사도 없이 한 반에 6명 이상이 확진되면 원격전환된다는 통보가 왔다. 작년 한해 학교를 거의 못갔는데 언제 또 원격전환될지 답답하다” 등의 글이 올라왔다.
한편, 14일부터는 동거인이 확진되더라도 백신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수동감시자로 지정돼 등교가 가능해진다. 방역당국은 지난 1일 방역지침을 변경해 동거인 격리기간을 없앴는데, 학교는 개학 직후 방역 상황을 고려해 14일부터 바뀐 지침을 적용하기로 한 바 있다. 다만 수동감시자가 된 학생·교직원은 동거인 검사일 기준 3일 내 유전자증폭(PCR) 검사와 6∼7일차 신속항원검사를 권고 받는다. 또 성인들에게 3일간 자택대기를 권고하듯, 학생들에게도 피시아르 검사 결과 확인까지(초기 3일 이내) 등교중지를 권고한다.
김지은 기자
quicksilv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