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전 광주 남구 한 초등학교에서 코로나19 전수검사가 진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초등학생 연령대에서 확진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일주일에 1천명에 가까이 확진자가 늘고 있는데 가족 감염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2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의 ‘7~12살 확진자 발생 현황’을 보면, 12월 셋째주(12월12일~18일) 확진자는 4325명으로 11월 넷째주(11월21일~27일) 1835명에 견줘 2.35배 늘었다. 11월 넷째주부터 확진자는 1835명→ 2470명→3721명→4325명으로 가파르게 상승했다. 7~12살의 인구 10만명당 주간 일평균 발생률 역시 11월 넷째주엔 9.4명이었지만, 12월 셋째주는 22.1명으로 눈에 띄게 늘었다. 반면 예방접종이 이뤄지고 연령대의 11월 넷째주와 12월 셋째주 주간 일평균 발생률을 보면, 13~15살은 10.7명→15.5명, 16~18살은 4.5명→8.1명으로 증가율이 낮다.
방역당국은 사회 전반적으로 코로나가 확산됨에 따라 백신을 접종하지 못한 초등학생이 상대적으로 감염에 취약해졌다고 분석한다. 실제 서울시교육청의 13일부터 19일까지 일주일간 학생과 교직원 확진자의 감염경로 자료를 보면, 실제 가족감염이 856명(37.0%)으로 가장 높고, 감염경로 불분명 668명(28.9%), 교내감염 568명(24.5%), 교외감염 223명(9.6%) 순이다. 이날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브리핑에서 “접종을 받지 않은 청소년과 12살 이하, 원천적으로 예방접종이 불가능한 연령층에서 감염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 거리두기를 통해 사회 전체의 유행 규모를 줄이고 청소년 예방접종률이 함께 올라가면 미접종 연령층을 좀더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교육당국은 접종률을 높여 내년의 전면등교를 준비하겠다는 방침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서울시와 견줘 교육청 확진자 비율이 0.2% 늘었는데 이는 백신접종 현안과 맞물려 있다고 본다. 다른 연령대에 비해 아직 학생들이 접종 비율이 낮다보니 상대적으로 (확진자가) 올라간 것 같다”며 “1∼2월에 최대한 전면등교를 대비한 방안들을 마련해 학부모들이 안심할 수 있는 학사운영 조치를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중대본 손영래 반장 역시 “청소년의 감염 위험이 높아지는 상황이지만, 영원히 원격 수업을 할 수는 없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교생활이 가능한 형태를 찾아야 한다”며 “예방접종을 하지 않으면서 정상적으로 대면 수업을 하고, 동시에 코로나19 감염도 막을 방법은 현재로선 없다”고 밝혔다.
정부는 5~11살 백신접종의 이득과 위험을 따져보고 있지만, 방역패스 적용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팀장은 이날 중대본 브리핑에서 “5∼11살에 대한 구체적인 접종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는 않지만, 현재 5∼11살 접종을 승인하거나 시행하는 해외 사례가 점점 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한다”며 “실제 접종을 시행할 경우, 국민 수용성도 고려해야 한다. 5∼11살에 대한 방역패스 적용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현재 ‘단계적 일상회복’(위드코로나) 중단에 따라 교내 방역 조치가 다시 강화되면서 초·중·고의 등교율은 70%를 밑돌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13일 당시 등교율은 87.8%였으나 원격수업 등이 병행되면서 20일 기준으로는 69.5%까지 등교율이 떨어진 상태라고 밝혔다.
학교급별로 보면 중학교(62.6%)와 고등학교(61.1%)보다 초등학교(77.7%)가 등교율이 더 높다. 서울시교육청은 <한겨레>와 통화에서 “초등학교 중에서는 방학이 일주일도 남지 않은 학교들이 많다. 그 사이에 설문조사를 하며 취합하기엔 시간이 많이 남지 않아, 이번주까지는 등교 기조를 유지하는 학생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지금 이뤄지는 부분 등교가 학년 기준으로 분리되는 만큼, 정작 각 학급 내 거리두기가 되고있지 않은 부분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교육부는 “작년 초반에 한 반을 홀짝제로 운영해본 바는 있지만 효과적이지 않다는 반응이 많았다”며 “학교별로 대응하는 부분이기도 하고, 학교는 시설과 다르게 공간이 아닌 밀집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우선은 환기 강화 지침을 통해서 강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quicksilv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