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포함한 전국 학교가 전면등교를 시작한 지난 22일 서울 용산구 금양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등교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전면등교 시행 첫 일주일, 서울지역 학생 1000명 이상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일주일 동안 학생 확진자가 1000명을 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지만, 상당수는 가족 감염으로 교내 감염의 비율은 오히려 줄었다.
30일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서울시교육청에서 코로나19 정례브리핑을 열고, 22일부터 28일까지 1090명의 학생과 교직원 95명 등 1185명의 학생·교직원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 전주 1018명(학생 946명)과 견줘 167명 늘어난 수치다. 현재까지 누적 확진자는 1만3903명이다.
코로나19 확산 속 전면등교 시행으로 학부모의 우려가 컸지만, 교내감염 비율은 전주 23.5%에서 18.8%(223명)로 감소했다. 학생과 교직원을 합친 전체 확진자 1185명 가운데 가족감염이 36%(426명)로 가장 많았고 감염경로 불분명 33.3%(395명), 교외감염 11.9%(141명) 등이 뒤를 이었다. 조 교육감은 “전면등교 영향으로 인해 교내감염이 더 증가하지는 않았다”며 “앞으로 매주 집계를 할 텐데 추이를 살펴보면 (전면등교 영향 등을) 잘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확진자는 초등학교에서 547명으로 가장 많이 나왔다. 중학생 319명, 고등학생 146명, 유치원생 53명이 뒤를 이었다. 고등학교에 견줘 초등학교·중학교의 백신접종률이 낮은 탓으로 분석된다. 조 교육감은 “학교 차원에서 좀더 적극적으로 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촉진하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시·도교육감 사이에서도 나온다”며 “이와 관련해 교육부와 질병청, 교육청들이 추가 협의를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은 방역 강화를 위해 퇴직 보건교사 20여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또 확진자가 발생한 학교의 역학조사를 지원하기 위해 코로나19 대응 역학조사지원팀도 운영할 방침이다.
김지은 기자
quicksilver@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