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훈 <한국방송>(KBS) 기자협회장(왼쪽)과 정필모 '민주당 도청의혹 사건 한국방송 기자협회 진상조사위원회' 위원장 등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스카우트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지난 2011년 6월 있었던 ‘민주당 비공개 회의 도청 의혹 사건’ 중간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김정효 기자 hyopd@hani.co.kr
2011년 <한국방송>(KBS)의 ‘민주당 도청 의혹 사건’ 당시 취재기자에게 “녹음을 하든지 녹취를 하든지 취재해 오라”는 구체적인 지시를 했다는 증언이 처음 나왔다. 민주당 도청 의혹 사건은 2011년 6월23일 오전 손학규 당시 민주당 대표실에서 있었던 한국방송 수신료 인상 관련 비공개 회의 내용을, 한선교 당시 한나라당 의원이 이튿날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전체회의에서 구체적으로 공개하면서 불거졌다.
사건을 조사하고 있는 한국방송 기자협회 진상조사위원회(위원장 정필모)는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스카우트빌딩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케이비에스 장아무개 기자에게 취재 지시를 내릴 수 있는 위치에 있던 중견 기자로부터 ‘내가 최대한 취재하라고 취재 지시를 내렸다. 녹음이라도 하든가 녹취가 가능하면 녹취도 하라고 했다’는 진술이 나왔다”고 밝혔다. 진상조사위는 이 중견 기자가 “당시 비공개 회의 내용을 위에서 ‘빨리빨리’ 보고하라고 재촉하는 바람에 장 기자의 보고를 포함한 취재 보고를 자신보다 고참 선배에게 정신없이 넘겼다고 기억했다”고 덧붙였다. 당시 3년 차로 민주당을 출입한 장아무개 기자는 한국방송 수신료 인상 관련 민주당 비공개 회의를 도청한 당사자로 지목된 인물이다.
민주당 도청 의혹 사건에서 ‘녹음·녹취’를 포함한 취재 지시가 있었다는 증언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이 증언은 이 사건에 고대영 당시 보도본부장(현 사장) 등 ‘윗선’이 개입한 게 아니냐는 그간의 의구심과도 맥이 닿는다. 지난 6월 인터넷 독립언론 <뉴스타파>는 임창건 당시 보도국장(현 한국방송 아트비전 감사)을 인터뷰해 △장 기자가 민주당 인사의 도움을 받아 녹취를 했고 △한국방송 인사가 녹취를 토대로 만든 내부 문건을 한선교 의원에게 전달했으며 △한 의원은 당시 이 문건을 토대로 폭로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임 국장은 이 인터뷰에서 수신료 인상 관련 문제 등 “대외업무는 (고대영) 보도본부장이 관장”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사건 직후 참석자 이름과 핵심 발언 내용 등 민주당 비공개 회의 내용이 담긴 문건을 봤다. 정치부의 한 기자가 내부 보고서라며 보여줬다’는 한 간부의 증언도 공개했다. 다만 조사위는 “도청 의혹이 불거지기 전 이 내용이 어느 선까지 보고됐는지, 누가 한나라당 쪽에 이 내용을 넘겼는지 등의 핵심 내용에 대한 간부급 증언이 더 필요한 상태”라고 밝혔다. 조사위는 최종 조사보고서를 이달 안에 공개할 예정이다.
황금비 기자
withb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