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중동+매경 4곳…보도채널엔 연합
방통위, 야당위원 불참속 여당위원끼리 의결
“여론 왜곡현상 심화…방송시장엔 재앙” 비판
방통위, 야당위원 불참속 여당위원끼리 의결
“여론 왜곡현상 심화…방송시장엔 재앙” 비판
2011년 마침내 ‘조중동 방송’이 뜬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새해를 하루 앞둔 31일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을 각각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매일경제>와 <연합뉴스>에 허용했다. ‘거대 보수·경제신문 방송’의 무더기 출현으로 새해 하반기부터 ‘한국 여론지형의 급격한 보수화와 미디어생태계 황폐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방통위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종편 4개와 보도채널 1개를 허가하는 사업자 선정 결과를 의결·발표했다. 방통위는 심사위원회 채점표를 근거로 중앙미디어네트워크(중앙일보)가 대주주인 ‘제이티비씨’(jTBC)에 1위(850.79점)를 줬다. 조선일보사가 대주주인 ‘씨에스티브이’(CSTV)는 2위(834.93점), 동아일보사와 매일경제신문이 대주주인 ‘채널에이(A)’와 ‘매일경제티브이’가 각각 3위(832.53점)와 4위(808.07점)를 차지했다.
한국경제신문과 태광 쪽은 점수 미달로 탈락했다. 보도채널은 ‘연합뉴스티브이’(829.71점)만 선정했다.
방통위는 1000점 만점에 800점을 넘으면 모두 사업권을 주는 ‘절대평가’ 방식을 따랐다곤 하나, 선정된 사업자 면면은 심사 전부터 돌던 ‘예상 답안’과 거의 일치했다.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의결 직후 “국회 미디어법 충돌과 헌법재판소 결정 등 여러 번의 큰 고비가 많았지만, 올해 안에 사업자 선정을 마무리짓겠다는 약속을 마지막날에 지킬 수 있어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최종 사업자 선정으로 현 정부가 극심한 정치·사회적 논란을 겪으며 추진해온 ‘친정부·보수적 언론구도 재편’도 완성 단계에 들어서게 됐다. 방통위는 컨소시엄별 주요 구성 주주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날 의결은 야당 위원들의 불참 속에 여당 상임위원 3명의 손에서 마무리됐다. 이경자 부위원장은 심사 돌입 직후 불거진 이병기 심사위원장의 ‘공정성 훼손’(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싱크탱크 참여) 논란을 문제삼아 퇴장했다. 양문석 위원도 결과 발표 후 기자회견을 열어 “조중동에 대한 정치적 보은이자 한국 방송시장에 대한 재앙”이라고 말했다. 방통위는 방송 사업권을 딴 사업자들이 향후 3개월 이내(1회 3개월 연장 가능)에 약속한 자본금을 납입하고 법인 등기부등본을 제출하면 최종 승인장을 교부한다. 매경은 기존 보도채널(엠비엔) 처분(사업권 반납 후 종편 전환)을 완료해야 승인장을 받을 수 있다. 신규 방송사들 대부분은 새해 하반기 방송 송출을 계획하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이날 논평을 내 “종편 사업자는 전부 보수매체로, 이후 방송을 통한 건전하고 균형 잡힌 담론이나 의제 형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왜곡현상과 편파성이 심화될 것”이라며 “국민 통합이나 합의보다 갈등과 분열이 심화될 가능성이 매우 커 국가적 후유증이 심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문영 김정필 기자 moon0@hani.co.kr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의결 직후 “국회 미디어법 충돌과 헌법재판소 결정 등 여러 번의 큰 고비가 많았지만, 올해 안에 사업자 선정을 마무리짓겠다는 약속을 마지막날에 지킬 수 있어 다행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날 최종 사업자 선정으로 현 정부가 극심한 정치·사회적 논란을 겪으며 추진해온 ‘친정부·보수적 언론구도 재편’도 완성 단계에 들어서게 됐다. 방통위는 컨소시엄별 주요 구성 주주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날 의결은 야당 위원들의 불참 속에 여당 상임위원 3명의 손에서 마무리됐다. 이경자 부위원장은 심사 돌입 직후 불거진 이병기 심사위원장의 ‘공정성 훼손’(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싱크탱크 참여) 논란을 문제삼아 퇴장했다. 양문석 위원도 결과 발표 후 기자회견을 열어 “조중동에 대한 정치적 보은이자 한국 방송시장에 대한 재앙”이라고 말했다. 방통위는 방송 사업권을 딴 사업자들이 향후 3개월 이내(1회 3개월 연장 가능)에 약속한 자본금을 납입하고 법인 등기부등본을 제출하면 최종 승인장을 교부한다. 매경은 기존 보도채널(엠비엔) 처분(사업권 반납 후 종편 전환)을 완료해야 승인장을 받을 수 있다. 신규 방송사들 대부분은 새해 하반기 방송 송출을 계획하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이날 논평을 내 “종편 사업자는 전부 보수매체로, 이후 방송을 통한 건전하고 균형 잡힌 담론이나 의제 형성을 기대하기 어렵고 왜곡현상과 편파성이 심화될 것”이라며 “국민 통합이나 합의보다 갈등과 분열이 심화될 가능성이 매우 커 국가적 후유증이 심각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문영 김정필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