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인 심사 문제없었나
조선 “사업자 너무 많아”
매경 “시장서 결론날 것”
태광 “당혹…할말없다” ‘조선·중앙·동아에 방송 주려는 종합편성채널 선정’이란 우려 섞인 예상이 한 치도 어긋나지 않았다. 31일 심사위원회가 올린 사업자 선정 결과를 방통위 여당 상임위원들(야당 위원 불참)이 의결하는 데는 20여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방통위는 ‘현 방송시장 현실상 생존 가능한 종편은 1개뿐’이란 진단에도 끝내 조중동 모두를 포함시킨 ‘다수사업자 구도’를 선택했다. 중앙일보의 ‘제이티비씨’(jTBC)는 5개 대분류 중 3개(방송프로그램의 기획·편성 및 제작계획 적절성, 조직 및 인력운영 등 경영계획 적절성, 재정 및 기술적 능력) 분야에서, 조선일보의 ‘씨에스티브이’(CSTV)는 2개(방송의 공적책임·공정성·공익성 실현 가능성, 방송발전 지원계획)에서 1위를 차지했다. 동아일보의 ‘채널에이(A)’는 각각 2개와 3개 분야에서 2위와 3위 점수를 받았고, 매일경제티브이는 1개와 4개 분야에서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강상현 연세대 교수는 “‘조중동 방송’ 만들기 위해 매경과 연합을 끼워 넣은 느낌이다. 정치적 고려의 산물”이라고 혹평했다. 김서중 교수는 “과거 행태를 볼 때 조선일보가 ‘공적책임·공정성 실현 가능성’에서 1위를 한 점은 국민 정서에 반하는 측면이 있다”며 “심사 공정성을 사후에 확인·검토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순간까지 불거진 심사 공정성 논란도 석연찮은 의혹을 남겼다. 야당 추천 양문석 위원은 이날 오전 방통위 상임위원 보고 및 전체회의 의결 전에 청와대가 사업자들에 선정 결과를 통보해준 사실을 지적하며 ‘정권 개입’ 의구심을 제기했다. 하지만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양 위원의 문제제기를 “잡음일 뿐”이라고 일축하며, “전체회의 전 각 정당 대표와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소속 의원들에게 사전 통보했다”고 밝혔다. 방통위가 공개한 14명 심사위원 중엔 김도연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와 조성호 경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2명이 방송 분야 전문가로 참여했다. 대신 경제경영·회계 쪽은 5명이나 됐다. 방송과 경제경영·회계 전문가가 4명씩 포함됐던 2006년 <오비에스> 허가 때와 비교해도, 종편의 방송 역량과 공적책임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가 적었던 셈이다.
사업자들 반응은 엇갈렸다. 가장 많은 납입자본금을 써내며 ‘다크호스’로 떠올랐던 태광은 당혹스런 기색이 역력했다. 태광 쪽 관계자는 “긍정적 기대를 하고 있었는데 당황스러운 결과에 할 말이 없다.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한국경제 쪽은 “노 코멘트”라며 말을 아꼈다. ‘종편 낙점자들’도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보였다. ‘허용 개수 최소화’를 주장했던 조선 관계자는 “현 방송시장 상황보단 라이선스(허가) 개수가 많다고 본다”고 말했고, 동아 관계자는 “분위기가 크게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고 전했다. 반면 ‘자격 되면 모두 허용’을 요구해온 매경 쪽은 “몇개 사업자가 나오더라도 모든 건 시장에서 결론날 것”이라고 답했다. 이문영 김정필 기자 moon0@hani.co.kr
매경 “시장서 결론날 것”
태광 “당혹…할말없다” ‘조선·중앙·동아에 방송 주려는 종합편성채널 선정’이란 우려 섞인 예상이 한 치도 어긋나지 않았다. 31일 심사위원회가 올린 사업자 선정 결과를 방통위 여당 상임위원들(야당 위원 불참)이 의결하는 데는 20여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방통위는 ‘현 방송시장 현실상 생존 가능한 종편은 1개뿐’이란 진단에도 끝내 조중동 모두를 포함시킨 ‘다수사업자 구도’를 선택했다. 중앙일보의 ‘제이티비씨’(jTBC)는 5개 대분류 중 3개(방송프로그램의 기획·편성 및 제작계획 적절성, 조직 및 인력운영 등 경영계획 적절성, 재정 및 기술적 능력) 분야에서, 조선일보의 ‘씨에스티브이’(CSTV)는 2개(방송의 공적책임·공정성·공익성 실현 가능성, 방송발전 지원계획)에서 1위를 차지했다. 동아일보의 ‘채널에이(A)’는 각각 2개와 3개 분야에서 2위와 3위 점수를 받았고, 매일경제티브이는 1개와 4개 분야에서 3위와 4위를 기록했다. 강상현 연세대 교수는 “‘조중동 방송’ 만들기 위해 매경과 연합을 끼워 넣은 느낌이다. 정치적 고려의 산물”이라고 혹평했다. 김서중 교수는 “과거 행태를 볼 때 조선일보가 ‘공적책임·공정성 실현 가능성’에서 1위를 한 점은 국민 정서에 반하는 측면이 있다”며 “심사 공정성을 사후에 확인·검토하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순간까지 불거진 심사 공정성 논란도 석연찮은 의혹을 남겼다. 야당 추천 양문석 위원은 이날 오전 방통위 상임위원 보고 및 전체회의 의결 전에 청와대가 사업자들에 선정 결과를 통보해준 사실을 지적하며 ‘정권 개입’ 의구심을 제기했다. 하지만 최시중 방통위원장은 양 위원의 문제제기를 “잡음일 뿐”이라고 일축하며, “전체회의 전 각 정당 대표와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 소속 의원들에게 사전 통보했다”고 밝혔다. 방통위가 공개한 14명 심사위원 중엔 김도연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교수와 조성호 경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2명이 방송 분야 전문가로 참여했다. 대신 경제경영·회계 쪽은 5명이나 됐다. 방송과 경제경영·회계 전문가가 4명씩 포함됐던 2006년 <오비에스> 허가 때와 비교해도, 종편의 방송 역량과 공적책임을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가 적었던 셈이다.
사업자들 반응은 엇갈렸다. 가장 많은 납입자본금을 써내며 ‘다크호스’로 떠올랐던 태광은 당혹스런 기색이 역력했다. 태광 쪽 관계자는 “긍정적 기대를 하고 있었는데 당황스러운 결과에 할 말이 없다.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밝혔다. 한국경제 쪽은 “노 코멘트”라며 말을 아꼈다. ‘종편 낙점자들’도 미묘한 뉘앙스 차이를 보였다. ‘허용 개수 최소화’를 주장했던 조선 관계자는 “현 방송시장 상황보단 라이선스(허가) 개수가 많다고 본다”고 말했고, 동아 관계자는 “분위기가 크게 좋지도 나쁘지도 않다”고 전했다. 반면 ‘자격 되면 모두 허용’을 요구해온 매경 쪽은 “몇개 사업자가 나오더라도 모든 건 시장에서 결론날 것”이라고 답했다. 이문영 김정필 기자 moon0@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