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의료·건강

‘바꿔치기’ 아닌 ‘섞어심기’인 이유

등록 2006-05-12 10:51수정 2006-05-12 13:22

"김선종씨, 일말의 기대감 갖고 서울대 NT 버리지 못해"
들통 우려해 작업대 제외한 실험실 조명 모두 꺼기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는 지난해 12월 22일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 6개의 DNA를 검사한 결과 미즈메디 병원 수정란 배아줄기세포로 확인됐다며 김선종 연구원과 성명불상자를 검찰에 수사해달라고 요청했다.

원래 줄기세포가 존재했는데 김 연구원과 누군가가 바꿔치기를 했다는 게 황 전 교수의 주장이었다.

이후 줄기세포 바꿔치기 논란이 시작됐다. 줄기세포 논문 조작을 둘러싼 논란이 증폭된 것도 `바꿔치기'라는 용어의 영향이 컸다.

바꿔치기를 한 사람이 있다면 실제 줄기세포가 있었을 것이란 추론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검찰 수사 결과 바꿔치기 의혹은 사실이 아니며 단순히 섞어심기만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비록 그 가능성은 희박하다 할지라도 혹시 서울대 배반포 내부세포괴(ICM)가 콜로니로 형성되지 않을까 하는 일말의 기대감을 갖고 ICM을 버리지 않고 미즈메디 병원에서 가져간 배지에 계대배양했다"고 밝혔다.


김선종 연구원은 서울대 배반포가 생명력이 약해 잘 자라지 못하지만, 혹시 미즈메디 병원 수정란 줄기세포와 섞이면 자랄 수도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을 버리지 못해 섞어심기를 했다는 것이다.

미즈메디 수정란 줄기세포 클럼프만 남기고 서울대 배반포 내부세포괴를 버렸다면 바꿔치기 논란의 여진이 계속됐을 수도 있었으나 그런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검찰 조사 결과 김 연구원은 영양세포 배양접시에 줄기세포용 배지를 담은 뒤 수정란 줄기세포 클럼프를 띄워 올 때 서울대 연구원들에게 발각될 것을 우려해 "조명이 밝으면 세포에 좋지 않다"며 작업대 조명을 제외한 실험실 조명을 모두 끄고 실험을 한 사실도 드러났다.

`바꿔치기'란 말은 결국 실험 과정을 제대로 알지 못한 채 줄기세포의 존재를 믿었던 황 전 교수의 허상이었던 셈이다.

이광철 기자 minor@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응원봉에 둘러싸인 77살 ‘뜨거운 눈물’…전세계 울린 한마디 [영상] 1.

응원봉에 둘러싸인 77살 ‘뜨거운 눈물’…전세계 울린 한마디 [영상]

헌재, 27일 윤석열 탄핵심판 시작…“6인 체제로 가능” 2.

헌재, 27일 윤석열 탄핵심판 시작…“6인 체제로 가능”

[단독] 여인형, 총선 직후부터 선관위 노려…부정선거 등 현안 보고받아 3.

[단독] 여인형, 총선 직후부터 선관위 노려…부정선거 등 현안 보고받아

연말 약속장소는 ‘헌재 앞’…재판관님, 탄핵 연하장 준비했어요 4.

연말 약속장소는 ‘헌재 앞’…재판관님, 탄핵 연하장 준비했어요

‘조사 거부’ 윤석열, 파면사유 추가되나…8년 전 헌재 “헌법수호 의지 없어” 5.

‘조사 거부’ 윤석열, 파면사유 추가되나…8년 전 헌재 “헌법수호 의지 없어”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