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24일 서울 시내 한 소아청소년과 의원에 폐업 관련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비수도권은 수도권보다 병원·병상 수가 많았지만 의사·간호사 수는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아청소년과는 비수도권에서 더 적은 데다가 수도권과의 격차가 확대되는 추세가 확인됐다.
통계청이 15일 발표한 ‘2023년 한국의 사회동향’ 자료를 보면, 2020년 기준 비수도권의 종합병원과 일반병원은 인구 100만명당 44.5개로 수도권(28.0개)보다 더 많았다. 인구 1천명당 일반병·의원 병상 수도 비수도권(8.8개)이 수도권에 비해 3.0개 많았다.
하지만 소아청소년과로 범위를 좁히면 반대 양상이 포착된다. 수도권 소아청소년과는 인구 100만명당 293.9개에 이르지만, 비수도권은 198.6개에 불과했다. 격차도 계속 벌어지고 있다. 2011년과 비교해 수도권에서는 69.3개가 늘었지만 비수도권에서는 36.8개 증가에 그쳤다.
1차 의료 기관인 의원(병상 수 30개 미만) 역시 수도권에 더 많았다. 수도권 의원은 681.0개, 비수도권은 596.5개다. 비수도권에서 1차적인 외래서비스를 받기 어렵다는 얘기다. 이로 인해 ‘예방가능 입원환자 수’도 비수도권에서 더 많았다. 예방가능 입원환자는 양질의 외래 의료서비스를 통해 입원 위험이 감소하는 질환을 가진 환자를 뜻한다. 1차 외래 의료를 통해 예방할 수 있는 질병인데도, 1차의료 의료기관이 부족한 탓에 입원에 이르게 되는 환자가 비수도권에 많다는 것이다.
의료인력도 수도권에 몰려있었다. 2020년 기준 인구 10만명당 수도권에서 일하는 의사와 간호사 수는 각각 211.5명, 369.0명이었으나, 비수도권은 169.1명, 351.5명에 그쳤다. 병원·병상 수와 의료진의 불일치가 발생하면서 비수도권 주민의 의료서비스 질이 하락하고 있다는 의미다.
이 통계는 통계청이 건강보험연구원에 의뢰해 분석한 내용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수경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은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의료시설과 의료인력은 지역 간, 의료기관 유형 간 불균형한 상태를 나타냈다”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의료 불균형을 부르는 주요 요소는 비수도권의 병원·병상 수가 더 많다는 점에서 의료시설 공급량보다는 공급 구조일 개연성이 높다”고 말했다.
안태호 기자
e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