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오전 서울 마포구보건소에 마련된 선별진료소. 연합뉴스
코로나19 재유행으로 위중증 환자가 늘고 있는 가운데, 확진자 대응을 위한 원스톱진료기관 4곳 가운데 1곳은 환자 증상이 나빠졌을 때 입원시킬 수 있는 병상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이 나빠진 확진자가 제 때 입원을 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 참석한 정기석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장(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은 “연휴가 끝나면 환자가 증가하는 것이 관례였다”며 “하루 신규 확진 10만명 선을 유지할 경우 60대 이상 등 고위험군도 하루 2만명(20%) 정도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날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가운데 스스로 호흡이 어려워 인공호흡기 치료 중인 위중증 환자는 575명이다. 이날까지 사흘 연속 500명대 규모다. 스스로 호흡이 가능한 경우를 합친 전체 위중증 병상 입원 환자는 837명이다.
그러나 확진자가 검사·처방·치료를 받을 수 있는 ‘원스톱 진료기관’은 4곳 가운데 1곳은 고위험군 환자에게 입원 안내를 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가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원스톱 진료기관 3590곳 운영 상황을 점검했더니, 인근 격리병상 현황을 미리 파악해 입원 치료 연계가 가능한 병·의원은 2674곳(74.5%)이었다. 나머지 25%가량은 증상이 나빠진 환자에게 입원 치료가 가능한 병원을 곧바로 안내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이 경우 보건소 문의 등을 거쳐야 해, 제때 입원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더불어 지난해와 달리 올해엔 독감 환자가 늘고 있어, 병원 응급실 등 의료 현장에서 독감과 코로나19 공통 증상인 발열이 있는 환자를 어떻게 치료해야 할지 논의가 필요하다고 정기석 위원장은 강조했다.
고위험군에 대한 낮은 치료제 처방률도 코로나19 인명 피해 최소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숙제다. 지난주(8월 14일∼20일) 만 60살 이상 환자 대비 먹는 치료제 처방률은 20.8%로 직전 주 20.3%와 비슷한 수준이다. 정기석 위원장은 “적어도 고위험군 (확진자) 2명 중 1명 또는 3명 중 1명은 먹는 치료제를 투약받을 수 있어야 중증화율·치명률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