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 전후로 신체활동, 정신건강과 주요 만성질환이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 실천이나 우울감 경험 지표는 2년 연속 나빠졌고, 개인위생과 비만, 고혈압 등 만성질환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 개선됐다가 지난해 악화했다.
질병관리청은 27일 코로나19 전후(2019~2021) 지역사회건강조사 결과를 활용한 주요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지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코로나19 유행 전후 성인의 주요 건강행태와 만성질환 지표를 분석한 결과,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 스트레스 인지율 등은 2019년부터 2년 연속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격렬한 신체활동을 1일 20분, 주 3일 이상 또는 중등도 신체활동을 1일 30분,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은 2019년부터 24.7%→19.8%→19.7%로 꾸준히 감소했다.
우울감 경험률 역시 2년 연속 늘었다. 최근 1년간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의 우울감을 경험한 사람은 2019년부터 5.5%→5.7%→6.7%로, 2년만에 1.2%p 증가했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2019년 25.2%에서 이듬해 26.2%로 1.0%p 증가한 뒤 지난해에도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당뇨병 지표도 2년 연속 악화했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30살 이상)은 2019년부터 8.0%→8.3%→8.8%로 꾸준히 늘었다. 반면, 당뇨병 진단경험자의 치료율은 같은 기간 91.9%에서 91.2%로 0.3%p 감소했다.
개인위생과 비만,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 개선됐다가 2021년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 후 손 씻기 실천율은 2019년 85.5%에서 2020년 97.6%로 크게(12.1%p) 증가했다가, 2021년에는 94.5%로 3.1%p 감소했다. 비누, 손 세정제 사용률 역시 2019년 81.3%에서 2020년 93.2%로 크게 늘었다가, 지난해 89.3%로 3.9%p 떨어졌다.
비만율 역시 2020년 개선됐다가 2021년 악화했다. 2019년 31.8%였던 자가보고 비만율은 2020년 31.3%로 소폭 감소했다가, 2021년에는 32.2%로 증가했다. 고혈압 진단 경험률은 2019년부터 19.4%에서 2020년 19.2%로 소폭 감소했다가, 2021년에는 20.0%로 다시 증가했다.
반대로 걷기실천율과 건강생활 실천율은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 악화됐다가 2021년 개선됐다. 최근 1주일 동안 1일 30분 이상 걷기를 주 5일 이상 실천한 사람을 뜻하는 걷기실천율은 2019년 40.4%에서 2020년 37.4%로 감소(3.0%p) 했다가, 2021년 다시 40.3%로 증가(2.9%p) 했다. 금연, 절주, 걷기를 모두 실천한 사람을 뜻하는 건강생활 실천율은 2019년 28.4%에서 2020년 26.4%로 감소(2.0%p)했다가, 2021년에는 29.6%로 증가(3.2%p)했다.
흡연율과 고혈압 관리는 지속적으로 개선됐다. 현재 흡연율은 2019년부터 20.3%→19.8%,→19.1%로 지속해서 떨어졌다. 월간 음주율 역시 2019년부터 59.9%→54.7%→53.7%까지 떨어졌다.
상세 분석 결과는 지역사회건강조사 누리집(https://chs.kdca.go.kr) ‘2021 지역건강통계 한눈에 보기 - 요약’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장현은 기자
mix@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