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서울시내 한 호흡기전담클리닉으로 지정된 병원 앞에 시민들이 코로나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코로나19에 확진되더라도 동네 병·의원에서 손쉽게 다른 질병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한다. 전문가들은 대면진료 확대에 공감하면서도, ‘동선구분’ 등 구체적 지침 마련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28일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른 질병으로도 원활하게 대면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외래진료센터 신청대상을 모든 병·의원으로 대폭 확대하고 신청절차도 간소화하겠다”면서 “이번 조처는 확진자도 사실상 모든 병·의원에서 1차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병원급은 오는 30일부터, 의원급은 내달 4일부터 외래진료센터 신청이 가능하다.
그동안 확진자 대면진료는 종합병원급(병상 100개 이상)과 일부 병원급(30개 이상 병상) 위주의 외래진료센터에서만 이뤄져왔다. 동네 병·의원은 신속항원검사 직후 처방을 하거나 재택치료 환자에게 비대면 진료만을 제공해왔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면진료를 확대해야한다는 지적이 많았다. 재택치료자 수는 183만7291명(28일 0시 기준)에 달하는데, 외래진료센터는 전국에 263곳(소아진료 164곳)에 불과했고, 강원 지역 등은 7곳으로 지역 편차도 컸기 때문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일반·일상 의료체계로 가는 과정의 일환이다. 코로나19 환자를 동네 병원이 감당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가는 구상”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재택치료 환자의 의료 접근성을 높여 중증화를 막으려면 대면진료 확대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최강원 명지병원 교수(감염내과)는 “비대면 진료로만 끌고가기엔 아슬아슬한 측면이 있다”며 “사망자가 위험군에서만 발생하는 것도 아니고, 위험군이라는 걸 본인이 알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고 말했다.
대면진료 정착을 위해선 시민·의료계와 소통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윤태호 부산대 의대 교수(예방의학)는 “(일반 환자들은 코로나19 환자와 함께 치료를 받는데 대해 불편하게 생각할 수 있는데) 격리상태에서 왜 대면진료를 해야 하는지 이유와 근거를 충분하게 국민들에게 설명해야 한다. 그게 가장 중요한 원칙이다”라며 “현장에서 혼란없이 연착륙할 수 있게 방역당국이 보호구 착용 등 대면진료 원칙을 정해 의료진에게 자세히 안내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남중 서울대 의대 교수(감염내과)는 “각 의료기관이 경험이 아주 없었던 정도는 아니어서, 확진 환자를 시간·공간적으로 기준을 나누면 대면진료 전환도 가능할 거라고 본다”면서도 “다만 환자 1인당 진료비 수가 등의 문제 해결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중수본 손 반장은 또 “수가 뿐 아니라 더 안전하게 진료할 수 있는 안전 체계 등에 대해 의료계와 함께 논의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준용 기자
juneyong@hani.co.kr 장현은 기자
mix@hani.co.kr 권지담 기자
gonji@hani.c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