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협약 파리협정 채택 5년
‘스턴 보고서’ 뒤 14년…기후변화, 경제 이슈로
역사적 책임·인당 배출량 선진국 책임 크지만
실제 적용하진 않아…향후 논란 커질 가능성
녹색기금 설립에도 선진국 이행 충분치 않아
“선진국들 앞장서 모범 보여야” 지적
‘스턴 보고서’ 뒤 14년…기후변화, 경제 이슈로
역사적 책임·인당 배출량 선진국 책임 크지만
실제 적용하진 않아…향후 논란 커질 가능성
녹색기금 설립에도 선진국 이행 충분치 않아
“선진국들 앞장서 모범 보여야” 지적
지난 2006년 10월30일 영국 런던 왕립학회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스턴 보고서’ 발표 자리에 참석한 니컬러스 스턴 당시 세계은행 수석경제연구원(가운데). 고든 브라운 당시 재무장관(왼쪽)과 토니 블레어 총리(오른쪽)의 모습. EPA
“앞으로 다가올 수십 년 동안 우리가 하는 행동이 금세기 후반부터 다음 세기에 이르기까지 엄청난 경제적·사회적 파국을 불러올 수 있다. 그 규모는 양차대전과 20세기 전반의 경제대공황을 합친 것에 버금갈 것이다.”영국의 경제학자이자 세계은행 부총재를 지낸 니컬러스 스턴(당시 세계은행 수석경제연구원)이 2006년 10월 발간한 일명 ‘스턴 보고서’(Stern Review)의 한 대목이다. 이 보고서는 인류가 지금 당장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행동에 나선다면 해마다 세계 각국 국내총생산(GDP)의 1% 정도 비용으로 기후변화 영향을 완화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GDP의 20%까지 비용을 치를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700쪽가량의 이 보고서는 당시로선 대기과학자나 환경과학자가 아닌 경제학자가 정부(영국) 지원을 받아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을 경제학적 관점에서 수행한 최초의 지구온난화 보고서였다는 점에서 화제였다. 당시 미국 정부가 교토의정서를 거부하며 그 이유로 온실가스 감축이 경제에 해를 끼친다는 점을 들었던 것과는 다른 시각이었다. 보고서 발간 직후 케냐 나이로비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21차 총회(COP12)에 참석한 코피 아난 당시 유엔 사무총장은 스턴 보고서를 두고 “환경 이슈로만 생각한 기후변화 문제가 이제 경제적·사회적 위협의 문제임을 제기하는 경제학자들의 관심사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라고 말했다. 보고서 발간 뒤 14년이 지난 지금 기후변화 문제는 그 말대로 경제 분야의 주된 이슈로 자리 잡았다. ▶관련기사:
신기후체제 열차, 운전지침 빈 칸 남긴 채 불안한 출발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73760.html)
파리협정 5년, 더워지는 지구 좁혀지지 않은 기후 목표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73751.html)
IPCC 6차 보고서, 각국 탄소감축 ‘숙제검사’ 답안지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973777.html) 스턴 보고서는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에서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을 구분했다. 보고서는 “광범위하고 지속적인 협력을 확보하기 위해 선진국과 개도국 모두의 공평한 노력 배분이 필요하다. 모든 차원의 공평을 만족하는 공식은 없지만, 소득과 역사적 책임, 1인당 배출량에 근거해 계산하면 부유한 나라들이 2050년까지 1990년 배출량의 60~80%를 저감할 책임이 있다”라고 쓰고 있다. 지금껏 많은 화석연료를 사용해온 선진국들 책임이 크다는 것이다. 올해까지 적용되는 교토의정서 체제가 선진국 등 38개 나라에만 감축 목표를 부여한 이유다. 내년 본격 출발하는 파리기후변화협정은 기후위기 상황이 심각하다는 판단에 따라 196개 모든 협약 당사국에 감축 의무를 부과했다. 하지만, 여전히 이 선진국-개도국 간 공평 분담의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했다. 오진규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감축 의무량 할당을 1인당 배출량 등의 기준으로 정하자는 얘기가 있지만, 실제 그렇게 적용하진 않고 있다. 1인당 배출량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1~3위 배출국인 중국과 미국, 인도의 입장이 명확히 나뉘기 때문인데, 하지만 (파리협정 체제가 본격 출범하게 되면) 앞으로는 점차 각국의 책임을 분명히 하자는 취지의 논란이 제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한국 인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의 G-타워 모습. 녹색기후기금(GCF) 사무국은 지난 2013년 12월부터 이 건물에 사무국을 두고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12월14일 스페인 마드리드 IFEMA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25차 총회(COP25)에서 총회 의장인 카롤리나 슈미트 칠레 환경부 장관이 연설하고 있다.
이슈기후적응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