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충북 영동 추풍령 저수지에서 관계자들이 그린솔라에너지가 세운 수상 태양광 발전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이 시설은 단일 규모로는 세대 최대인 2MW급으로, 해마다 900여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영동/이정아 기자 leej@hani.co.kr
전 세계 재생에너지의 확대가 주로 전력 부문에 치중돼 있어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난방과 운송 부문의 재생에너지 확대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 지난해 태양광 발전 설비를 가장 많이 확충한 10개 나라에 한국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재생에너지 분야 국제 비영리 단체인 ‘21세기를 위한 국제재생에너지정책네트워크’(REN21)는 16일 이런 내용의 ‘2020 세계 재생에너지 현황 보고서’를 발표했다. 독일 정부 지원으로 설립된 REN21은 2년마다 세계재생에너지총회를 여는데, 지난해 10월 서울에서 열린 8차 총회는 한국의 산업통상자원부, 서울시와 함께 주최한 바 있다. REN21은 해마다 발간하는 현황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을 촉구하고 있다. 350여명의 전 세계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해 작성한 올해 보고서에서 이들은 “난방, 운송 부문의 재생에너지 비중에 거의 변화가 없다”며 “화석연료로 주택과 건물의 난방을 하고 자동차를 운행하는 일을 중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를 보면, 전 세계 최종 에너지 소비량 중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2017년 국제에너지기구 자료 기반)은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17%를 차지하는 전력 부문에서 26.4%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 세계 전력의 4분의 1이 재생에너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한데 이 비율은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절반 이상인 51%를 차지하는 난방 부문에선 10.1%, 32%를 차지하는 운송에선 3.3%에 그쳤다. 이 때문에 최종 에너지 소비량에서 재생에너지 비중은 2013년 9.6%에서 2018년 11%로 1.4%포인트 느는 데 그쳤다. 전력 부문과 달리, 난방 및 운송 부문의 재생에너지 이용은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다.
전 세계 최종 에너지 소비량 중 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율. REN21 제공
라나 아디브 REN21 사무총장은 “지난 5년간 전력 부문에서 재생에너지 성장은 놀라운 수준이었고 성장세, 경쟁력 관점에서 다른 모든 종류의 에너지원을 능가했다. 하지만 전력 부문은 에너지 전환이 시급한 전체 영역 중 일부에 불과한 데다, 끊임없이 증가하는 전 세계 에너지 수요가 그 성과를 상쇄하고 있다. 에너지를 둘러싼 전체 시스템을 바꾸지 않는 한, 진정한 전환이 불가능하다. 화석연료로 집을 데우고 차를 모는 것을 멈춰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국은 지난해 전 세계에서 태양광 설비를 가장 많이 확충한 상위 10개 국가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 10개 국가는 중국(지난해 30.1GW를 신설), 미국(13.3), 인도(9.9), 일본(7.0), 베트남·스페인(4.8), 독일(3.8), 오스트레일리아(3.7), 우크라이나(3.5), 한국(3.1) 순이었다. 이들 10개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에선 지난해 태양광 설비가 31.1GW 늘었다. 1GW는 일반적인 원자력발전소 1기의 발전용량이다. 문재인 정부는 2017년 발표한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 따라 오는 2030년까지 태양광 36.5GW, 풍력 17.7GW로 설비를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이에 따라 2018~2019년 새로 설치된 재생에너지 설비는 7.1GW로, 2017년까지 설치된 누적설비 15.1GW의 절반에 달한다.
지난해 태양광 설비를 가장 많이 확충한 상위 10개국. REN21 제공
REN21은 또 “코로나19에도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이 예상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올해 코로나19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최대 8% 감축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REN21은 이런 감축이 “일시적일 것”이라며 “파리기후변화협약의 목표(인 지구 평균 기온 상승 폭 1.5도 이내로 억제)를 달성하려면 향후 10년 동안 해마다 7.6% 감소가 유지돼야 한다. 하지만 이는 록다운(이동제한)을 10년 동안 지속해도 목표달성이 충분치 않다는 것”이라고 봤다. 그러면서 “현재 속도, 현재 시스템, 그리고 현재 시장 규칙으로는 저탄소 시스템 근처에 영원히 갈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