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요 성시별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 현황. 국립환경과학원 제공
서울과 중국 베이징의 초미세먼지 성분을 분석한 결과 주로 자동차 배출가스와 석탄 발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한중 대기질공동연구단이 2017년부터 중국 베이징 현지에서 초미세먼지 특성을 연구해 서울과 비교한 결과를 22일 공개했다.
내용을 보면, 서울과 베이징 두 도시의 초미세먼지 성분은 질산암모늄, 황산암모늄, 유기물질 등으로 비슷했지만, 조성 비율에서 차이를 보였다. 자동차 배출가스와 관련이 있는 질산암모늄은 두 도시가 비슷(서울 25%, 베이징 22%)했지만, 석유·석탄 연소와 더 직접 연관된 황산암모늄은 베이징(11%)이 서울(25%)의 절반 수준이었다. 유기물질 비율은 베이징이 서울보다 1.5배 많았다.
아울러 질산암모늄의 경우 2017년 초미세먼지 고농도 발생 때 10% 이상 증가했으며, 특히 서울은 증가 폭이 22%까지 나타나 고농도 때 교통 부문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나왔다. 공동연구단은 향후 배출량 현지 조사, 배출항목 구축 등 추가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공동연구단은 이어 베이징의 질소·황산암모늄의 비중이 점점 줄고 있다며 화석 연료 사용을 줄이는 중국 정부의 에너지 구조조정 정책이 효과를 봤다고 분석했다. 다만 여전히 석탄 등 화석 연료 사용량이 많아지는 겨울철에 유기물질 조성비가 높게 나타나 지속적인 저감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봤다.
환경과학원은 공동연구단이 중국 주요 지역 고농도 미세먼지 예·경보 자료를 실시간 분석해 환경부 등 관계기관에 전파해 미세먼지 대응에 활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베이징 외 바오딩, 창다오, 다롄 등 중국 북동부 도시 3곳의 초미세먼지 조성비를 분석한 결과는 내년에 공개한다.
박기용 기자
xen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