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사회 환경

소총 260발, 몸속에서 터지는 작살포…고래사냥 잔혹사

등록 2012-07-20 20:07수정 2012-07-22 17:12

고래 몸속에서 작살포가 폭발한 모습. 치명상을 입히지 못해 두 번째 작살포나 소총 사격으로 이어진다. 사진=세계동물보호협회(WSPA)
고래 몸속에서 작살포가 폭발한 모습. 치명상을 입히지 못해 두 번째 작살포나 소총 사격으로 이어진다. 사진=세계동물보호협회(WSPA)
작살포 몸속 30㎝ 깊이서 폭발, 뇌 맞히기 힘들어 고통 연장
원주민 토착 포경은 더 잔인…"인도적 고래잡이 방법은 없다"
조홍섭의 자연 보따리

포경선이 가장 즐겨 잡던 참고래란 고래가 있다. 길이 16m에 70t까지 나가는 큰 몸집이지만 연안에 사는데다 배가 접근해도 도망치지 않고, 무엇보다 작살에 맞아 죽어도 가라앉지 않고 물에 뜨는 ‘착한’ 특징을 지녔다. 영어로 ‘(잡기에) 딱 좋은’이란 뜻의 라이트 웨일(Right Whale)로 불리고 우리 말로도 ‘참’이란 접두어를 얻게 된 데는 이런 슬픈 사연이 있다.

고래는 먼저 잡는 사람이 주인인 수산자원으로 취급받았다. 연안의 고래가 고갈되고 마지막 남은 고래 천국인 남극해에서 1925년부터 1985년까지 잡힌 대형 고래는 200만마리가 넘는다. 그러나 1986년 세계적인 고래잡이 금지 조처는 고래를 바라보는 시각의 일대 전환을 가져왔다.

고래의 두뇌는 크고 잘 발달했다. 혹등고래는 몇 달에 걸쳐 복잡한 노래를 만들고 여러 마리가 공기방울 그물을 만들어 생선을 사냥하기도 한다. 학습능력이 뛰어나고 자식과의 유대도 깊다.

새끼를 데리고 있는 혹등고래. 사진=WSPA
새끼를 데리고 있는 혹등고래. 사진=WSPA

일본,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등 상업적 고래잡이를 하는 나라들이 종종 야만국 취급을 받는 것은 이런 고래를 잔인하게 죽이기 때문이다. 최근 국제포경위원회(IWC) 총회에서 우리나라가 고래잡이에 나서겠다고 하자 미국, 오스트레일리아(호주) 등이 외교적 항의에 나선 것도 고래 보호에 관한 자국의 강한 여론을 잘 알아서였다.

‘현대화’가 됐다지만 고래잡이는 한 세기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달라진 게 없다. 포경선은 몇 시간이고 고래를 쫓는다. 공포에 질린 고래의 호흡이 가빠지고 물에 떠오르는 빈도가 잦아지면 고래와의 거리를 좁히고 작살포를 쏜다.

포경선에 장착된 작살포. 기본적으로 한 세기 전과 다를 바가 없다. 사진=TBC
포경선에 장착된 작살포. 기본적으로 한 세기 전과 다를 바가 없다. 사진=TBC
포수가 고래를 겨냥하는 것은 쉽지 않다. 40~60m 밖에서 수면을 들락거리는 동물을 파도에 올라탄 배 위에서 정확히 맞혀야 하기 때문이다. 종종 두 번째 작살포를 발사하고 그래도 죽지 않은 고래에게 소총을 발사하기도 한다.

요즘 상업적 포경선은 펜트라이트 수류탄 작살을 발사한다. 작살은 고래의 몸을 찢으며 깊이 30㎝까지 파고든 뒤 폭발해 폭 20㎝가량의 상처를 낸다. 문제는 고래의 뇌를 정확히 겨냥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 몸통에 큰 상처를 입은 고래는 끔찍한 고통 속에서 죽음을 맞게 된다.

작살포를 맞은 뒤 죽을 때까지의 시간을 줄이는 건 ‘고래 복지’의 중요한 관심사이다. 노르웨이와 일본은 그 시간을 2~3분으로 줄였다고 주장하지만, 어떤 고래는 1시간 반에 이르기도 한다. 게다가 그런 ‘즉사’의 비율도 노르웨이가 80%, 일본은 60%에 지나지 않는다.

일본의 과학포경선의 작살포에 맞은 밍크고래가 몸부림치고 있다. 사진=WSPA
일본의 과학포경선의 작살포에 맞은 밍크고래가 몸부림치고 있다. 사진=WSPA

고래의 죽음을 판정하는 기준도 논란거리다. 국제포경위원회는 아래턱이 늘어지고 지느러미 움직임이 없으며 가라앉으면 죽었다고 본다. 하지만 과학자와 수의사들은 고래의 독특한 생리에 비춰 죽은 것처럼 보여도 실은 훨씬 더 오랫동안 고통스런 삶을 연장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고래는 오랜 잠수 때 꼭 필요한 기관을 뺀 몸의 나머지에 혈액흐름을 줄이고 신진대사를 낮춘다.

일본 과학포경선이 2005~2006년 사이 남극해에서 16마리의 밍크고래에 작살포를 맞춘 지점(붉은색). 뇌와는 거리가 있다.
일본 과학포경선이 2005~2006년 사이 남극해에서 16마리의 밍크고래에 작살포를 맞춘 지점(붉은색). 뇌와는 거리가 있다.

토착민의 전통적 고래잡이는 윤리적인 면에서 상업적 포경보다 못한 경우가 많다. 러시아의 원주민은 2009년 귀신고래한테 작살을 쏘아 건지기까지 77분이 걸렸으며 추가로 260발의 소총을 쏘았다.

세계동물보호협회(WSPA)는 고래잡이가 국제적인 도축 지침에도 어긋난다고 지적한다. 고속의 선박 소음으로 몰아대고, 작살줄로 끌어당겨 상처를 확대시키며, 임신 마지막 시기엔 도축하지 않는 기준도 적용하지 않는 현재의 고래잡이는 잔인하고 비인도적이라는 것이다.

영국 <비비시> 방송의 유명한 자연다큐 진행자인 데이빗 아텐보로 경은 “고래 부위 가운데 대체품이 없는 것은 없으며, 고래를 인도적으로 죽일 수 있는 방법 또한 없다”고 말한다.

반세기 전 남극해 포경선에 승선했던 의사 해리 릴리는 고래를 죽이는 방법을 두고 “뱃속에서 폭발하는 창 두세 개를 꽂은 말을 줄에 매단 도살차가 런던 시내를 피를 뿌리며 지나가는 것과 뭐가 다르냐”고 개탄했다.

그물에 걸린 북방긴수염고래를 고래보호단체 회원들이 풀어주려 하고 있다. 사진=에코헬스 얼라이언스
그물에 걸린 북방긴수염고래를 고래보호단체 회원들이 풀어주려 하고 있다. 사진=에코헬스 얼라이언스

물론 어민들도 고통을 겪고 있다. 어장은 비어가는데 그나마 있는 고기마저 빼앗기는 심정일 것이다. 하지만 그 고통을 우리 근해의 고래가 겪어야 할 고통과 비교할 수 있을까. 이미 한 해에 수백 마리씩 그물에 걸려 질식해 죽는 고통에 더해서 말이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통영 실종 초등생 엿새만에 숨진채 발견…40대 피의자 검거
“주민번호 1만원에…” 아이돌 개인정보 거래 ‘발칵’
여름에 몹쓸 새 전투복 ‘땀 배출·통풍’ 꽝
소총 260발, 몸속 폭발 작살포…고래사냥 잔혹사
[화보] 누가 이 아이들 옷을 벗겼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지금 당장 기후 행동”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사회 많이 보는 기사

곽종근 “윤석열, 정확히 ‘의원’ 끌어내라 지시…의결정족수 언급” 1.

곽종근 “윤석열, 정확히 ‘의원’ 끌어내라 지시…의결정족수 언급”

[단독] 이진우, 윤석열 폭음 만찬 직후 ‘한동훈’ 검색…11월 계엄 준비 정황 2.

[단독] 이진우, 윤석열 폭음 만찬 직후 ‘한동훈’ 검색…11월 계엄 준비 정황

오늘 퇴근길 최대 10㎝ 눈…입춘 한파 일요일까지 3.

오늘 퇴근길 최대 10㎝ 눈…입춘 한파 일요일까지

계엄날 국회 투입 707단장 “총기 사용 가능성 있었다” 4.

계엄날 국회 투입 707단장 “총기 사용 가능성 있었다”

707단장 “곽종근, 일부러 소극 대응…내란은 김용현 탓” 5.

707단장 “곽종근, 일부러 소극 대응…내란은 김용현 탓”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