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다가스카르 고유종인 여우원숭이. 위키미디어 코먼스
[토요판] 조홍섭의 자연 보따리
어릴 때 몇 번이고 읽은 동화책 <십오 소년 표류기>는 쥘 베른이 1888년 낸 모험소설로 원제는 ‘2년간의 휴가’이다. 15명의 어린이가 휴가차 탄 보트가 표류해 도착한 남태평양의 무인도에서 2년 동안 살다가 탈출하는 흥미진진한 이야기이다. 새로운 세계와 모험을 향한 동경은 소년의 특권이지만, 사람뿐 아니라 동물들의 유전자에도 그런 성향이 들어 있는 것 같다. 바다 한가운데 있는 섬에 어떻게 동물들이 살게 됐을까 궁금해하다가 든 생각이다.
아프리카 남동쪽의 마다가스카르 섬은 세계에서 생물다양성이 가장 높은 곳으로 꼽힌다. 여우원숭이, 카멜레온, 바오밥나무 등으로 상징되는 이 섬의 동식물 가운데 약 90%는 세계 다른 곳에는 없는 고유종이다. 마다가스카르는 약 8000만년 전 아프리카와 분리됐다. 아직 현재와 같은 포유류가 진화하기 전 일이다. 그렇다면 이 섬의 동물은 어디서 왔을까.
1세기 전만 해도 ‘육교 이론’이 정설이었다. 아프리카에서 400㎞나 떨어져 있으니 헤엄치기엔 너무 멀고, 아프리카와 마다가스카르를 잇던 기다란 육교 형태의 육지가 한때 있다가 사라졌다면 동물의 이동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육교의 흔적이 전혀 없다는 게 이 이론의 치명적 약점이었다. 게다가 유인원, 사자, 코끼리 등 대형 포유류는 전혀 없고 안경원숭이, 설치류, 몽구스 등 작은 동물만 있는 사실도 특이하다. 여기서 일찍부터 ‘뗏목 이론’이 출현했다.
사람들은 경험을 통해 큰 홍수 때 나무나 작은 숲이 통째로 바다에 흘러간다는 사실을 안다. 실제로 폭 100m에 작은 물웅덩이까지 있는 큰 숲이 200㎞ 밖 바다에 떠내려간 일이 있다. 여기엔 뱀이나 쥐 같은 소형 동물은 물론이고 재규어, 퓨마, 사슴, 원숭이, 그리고 어린이까지 타고 있던 기록이 있다. 만일 해류가 도와준다면 400㎞라도 이동할 수 없는 거리는 아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바닷물은 마다가스카르에서 아프리카 대륙 쪽으로 흐른다. 벽에 부닥친 뗏목 이론을 최근 지질학자와 생물학자들이 되살렸다. 판구조론 연구자들은 마다가스카르가 약 2000만년 전에는 현재보다 1600㎞ 남쪽에 있었고, 당시의 대륙 배치에서 해류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마다가스카르 쪽으로 흘렀음을 밝혔다. 또 분자유전학적 증거는 이 섬에 있는 영장류 101종의 조상은 4000만~5000만년 전 한 종이 분화한 것임을 보여줬다. 큰 열대폭풍 때 쓸려나간 숲 조각에서 운 좋은 어느 영장류가 이 섬에 도착했다는 걸 알 수 있다.
물론 모든 섬의 동물이 ‘뗏목’을 타고 이동한 것은 아니다. 이구아나는 아메리카에 서식하는 파충류인데, 무려 8000㎞나 떨어진 태평양 섬인 피지와 통가에도 분포한다. 과학자들은 유전자 연구 결과 이 이구아나는 아메리카가 아니라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호주)에 살던, 그리고 현재는 멸종한 이구아나였음을 알아냈다. 피지의 이구아나는 ‘걸어서’ 이동한 것이었다.
제주도처럼 빙하기에 육지와 연결되었던 섬에는 육지와 마찬가지 동물이 산다. 반대로 대양 섬인 울릉도에는 애초 포유류와 뱀, 개구리가 전혀 없었다. 한강처럼 큰 강이 동해에 있었다면 육지와 137㎞ 떨어진 울릉도로 ‘항해’를 시도한 동물이 있었을 것이다. 서해안 섬에 유독 구렁이가 많은 건 거대한 홍수와 동물판 ‘십오 소년 표류기’의 유산일까.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자살학생 마지막 문자는 “장례식 오면 가만안둬”
■ 이건희 “한푼도 못 줘…고소하면 고소하고 헌재까지 갈것”
■ “안철수 입장 빨리 밝혀라”…‘안달복달’ 새누리
■ 새누리, 승자의 변심…김형태·문대성 처리 유보
■ ‘성추행 정직 6개월’ 피디가 MBC 마감뉴스 맡아
■ 자살학생 마지막 문자는 “장례식 오면 가만안둬”
■ 이건희 “한푼도 못 줘…고소하면 고소하고 헌재까지 갈것”
■ “안철수 입장 빨리 밝혀라”…‘안달복달’ 새누리
■ 새누리, 승자의 변심…김형태·문대성 처리 유보
■ ‘성추행 정직 6개월’ 피디가 MBC 마감뉴스 맡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