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낙동강·금강·영산강서 동시다발 기자회견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회장이 27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제방 관리 부실 등 최근 홍수 피해 원인을 진단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회장이 27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제방 관리 부실 등 최근 홍수 피해 원인을 진단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83/imgdb/original/2023/0727/20230727502483.jpg)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회장이 27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제방 관리 부실 등 최근 홍수 피해 원인을 진단하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회장이 감사원의 4대강 사업 감사 결과 발표와 이에 발맞춘 환경부 후속 조처 발표는 지난 정부에서 결정된 금강·영산강의 보 처리방안을 무효화하고 4대강 보를 다시 활용하겠다는 목적에 다름없다고 밝혔다. 강창광 선임기자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회장이 감사원의 4대강 사업 감사 결과 발표와 이에 발맞춘 환경부 후속 조처 발표는 지난 정부에서 결정된 금강·영산강의 보 처리방안을 무효화하고 4대강 보를 다시 활용하겠다는 목적에 다름없다고 밝혔다. 강창광 선임기자](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43/imgdb/original/2023/0727/20230727502481.jpg)
박창근 대한하천학회 회장이 감사원의 4대강 사업 감사 결과 발표와 이에 발맞춘 환경부 후속 조처 발표는 지난 정부에서 결정된 금강·영산강의 보 처리방안을 무효화하고 4대강 보를 다시 활용하겠다는 목적에 다름없다고 밝혔다. 강창광 선임기자
![27일 ‘보철거를 위한 금강·영산강시민행동’의 주최로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정문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시민행동은 “자연환경을 보전하며 국민의 안전과 생활환경 보호를 제1의 목표로 삼아야 할 환경부가 환경 토건 사업에 질주하고 있다”며, “환경부는 보 처리방안에 대해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재심의를 요청하고 하천 관리에서 보 존치, 하천 준설, 댐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직무를 유기하고 직권을 남용하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27일 ‘보철거를 위한 금강·영산강시민행동’의 주최로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정문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시민행동은 “자연환경을 보전하며 국민의 안전과 생활환경 보호를 제1의 목표로 삼아야 할 환경부가 환경 토건 사업에 질주하고 있다”며, “환경부는 보 처리방안에 대해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재심의를 요청하고 하천 관리에서 보 존치, 하천 준설, 댐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직무를 유기하고 직권을 남용하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46/imgdb/original/2023/0727/20230727502479.jpg)
27일 ‘보철거를 위한 금강·영산강시민행동’의 주최로 정부세종청사 환경부 정문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시민행동은 “자연환경을 보전하며 국민의 안전과 생활환경 보호를 제1의 목표로 삼아야 할 환경부가 환경 토건 사업에 질주하고 있다”며, “환경부는 보 처리방안에 대해 국가물관리위원회에 재심의를 요청하고 하천 관리에서 보 존치, 하천 준설, 댐 건설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는데 이는 직무를 유기하고 직권을 남용하는 것”이라고 규탄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27일 낙동강네트워크,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의 주최로 상주보 좌안 제방 붕괴 현장에서 열린 환경부 규탄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이번 홍수 피해를 정쟁화하는 정부·여당을 비판한다”며 자연기반 해법을 중심으로 한 선진적 하천관리의 중요성과 홍수위를 상승시키는 보의 부작용, 강의 호소화로 인한 녹조 독소의 번성 등 현재 4대강을 둘러싼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보의 개방과 해체를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27일 낙동강네트워크,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의 주최로 상주보 좌안 제방 붕괴 현장에서 열린 환경부 규탄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이번 홍수 피해를 정쟁화하는 정부·여당을 비판한다”며 자연기반 해법을 중심으로 한 선진적 하천관리의 중요성과 홍수위를 상승시키는 보의 부작용, 강의 호소화로 인한 녹조 독소의 번성 등 현재 4대강을 둘러싼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보의 개방과 해체를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48/imgdb/original/2023/0727/20230727502484.jpg)
27일 낙동강네트워크, 대구시민단체연대회의의 주최로 상주보 좌안 제방 붕괴 현장에서 열린 환경부 규탄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이번 홍수 피해를 정쟁화하는 정부·여당을 비판한다”며 자연기반 해법을 중심으로 한 선진적 하천관리의 중요성과 홍수위를 상승시키는 보의 부작용, 강의 호소화로 인한 녹조 독소의 번성 등 현재 4대강을 둘러싼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보의 개방과 해체를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27일 상주보 좌안 제방 붕괴 현장에서 열린 환경부 규탄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27일 상주보 좌안 제방 붕괴 현장에서 열린 환경부 규탄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548/imgdb/original/2023/0727/20230727502482.jpg)
27일 상주보 좌안 제방 붕괴 현장에서 열린 환경부 규탄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27일 광주시 서구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영산강살리기네트워크, 빛고을하천네트워크, 보 철거를 위한 금강·영산강시민행동, 섬진강유역환경협의회의 주최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참가자들은 이번 감사원 결과의 오류를 지적하고 4대강의 재자연화를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27일 광주시 서구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영산강살리기네트워크, 빛고을하천네트워크, 보 철거를 위한 금강·영산강시민행동, 섬진강유역환경협의회의 주최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참가자들은 이번 감사원 결과의 오류를 지적하고 4대강의 재자연화를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728/imgdb/original/2023/0727/20230727502478.jpg)
27일 광주시 서구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영산강살리기네트워크, 빛고을하천네트워크, 보 철거를 위한 금강·영산강시민행동, 섬진강유역환경협의회의 주최로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참가자들은 이번 감사원 결과의 오류를 지적하고 4대강의 재자연화를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27일 광주시 서구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열린 환경부 규탄 기자회견 도중 행위극이 진행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27일 광주시 서구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열린 환경부 규탄 기자회견 도중 행위극이 진행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http://flexible.img.hani.co.kr/flexible/normal/970/437/imgdb/original/2023/0727/20230727502480.jpg)
27일 광주시 서구 영산강유역환경청 앞에서 열린 환경부 규탄 기자회견 도중 행위극이 진행되고 있다. 환경운동연합 제공
관련기사
이슈4대강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