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미래&과학 과학

개와 문어 누구 머리가 좋을까

등록 2012-02-24 20:33수정 2012-04-18 10:48

수조 속의 문어가 본 사람의 이미지. 한쪽은 먹이를 주고 한쪽은 죽 괴롭혔다.  사진 출처: 롤런드 앤더슨, <응용동물복지학>
수조 속의 문어가 본 사람의 이미지. 한쪽은 먹이를 주고 한쪽은 죽 괴롭혔다. 사진 출처: 롤런드 앤더슨, <응용동물복지학>
[토요판] 조홍섭의 자연 보따리
개는 주인의 지시를 놀랄 만큼 잘 알아듣는다. 이런 능력이 높은 지능 때문은 아닌 것 같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는 침팬지와 개를 상대로 조금 떨어진 곳의 물체를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제대로 가져오면 보상으로 먹이를 주는 실험을 했다. 예상 밖으로 침팬지는 이 과업을 잘 수행하지 못했다. 손가락이 뭘 가리키는지는 알겠는데 왜 그걸 가리킬까를 추론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래, 상자를 가리키는 건 알겠는데, 어쩌라고?” 하는 식이다.

개는 달랐다. 사람이 뭘 가리키는지 그리고 뭘 원하는지를 금세 알아차려 침팬지보다 뛰어난 실험 성적을 거두었다. 놀랍게도 개는 따로 배우지 않더라도 생후 6주가 되면 이런 능력을 갖춘다. 이 단계가 되려면 아기는 14개월이 돼야 한다. 집에서 기르는 고양이에게도 이런 능력이 발견되지만 매우 드물다.


승리팀을 맞추는 문어로 유명해진 파울.
승리팀을 맞추는 문어로 유명해진 파울.
전문가들은 이처럼 개가 사람의 다양한 소통 단서를 능숙하게 이용하게 된 것은 가축화되는 과정에서 이런 능력을 가진 개체가 선택받았기 때문으로 본다. 다시 말해 주인의 의도를 잘 알아채는 능력을 갖춘 늑대가 바로 개라는 것이다. 늑대는 개와 유전적으로 거의 비슷하지만 이런 재주가 없다. 개 가운데서도 가축 몰이 개와 사냥개 품종이 이런 면에서 탁월하다.

또 개는 주인이 가리키는 것을 맹목적으로 따르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얻은 맥락적 정보를 통해 가리키는 동작을 해석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주인 목소리의 높낮이나 먹이를 찾았던 이전의 기억 등을 함께 고려한다는 뜻이다.

함께 사는 일란성 쌍둥이의 체취 차이도 구별하는 예민한 감각에 이런 소통능력까지 갖췄기에 개는 진화적으로 성공했다. 동족이 굶어 죽는데도 인간은 막대한 식량과 비용으로 개를 길러 전세계 개의 개체수는 4억마리에 이른다.

개 이외의 다른 동물도 개 못지않은 능력이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미국 미시간대학 연구진은 금종이말벌이 동료 얼굴을 알아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여러 마리의 여왕벌이 하나의 둥지를 공유하는 이 말벌은 서로 신분을 구분해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고 엄격한 계층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이런 능력을 키웠다.

문어가 사람을 알아본다는 연구도 있다. 까치나 까마귀가 사람을 알아본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미국 시애틀 수족관 연구자 등은 실험을 통해 문어가 새 못지않은 인식능력이 있음을 증명했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수족관의 문어에게 한 사람은 먹이만 주고 다른 사람은 약을 올리는 식으로 역할을 나눠 11일 동안 계속한 뒤 각자가 따로 나타났을 때 문어의 무늬, 먹물 뿜기 행동, 호흡률 등을 비교했다. 그랬더니 괴롭히는 사람이 나타났을 때 먹물을 뿜고 눈 주변에 위장무늬가 나타나며 호흡률이 높아지는 사실이 드러났다.

문어는 축구 승부를 예측하는 근거 없는 초능력이 아니더라도 수족관 수면에 떠 있는 장난감에 물총을 쏘며 놀아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지적 동물이다. 사실 하등이냐 고등이냐는 사람의 잣대일 뿐이다. 개가 영리해 보이는 건 사람 곁에서 적응하며 진화한 결과이다. 개나 고양이하고만 관계를 맺고 나머지 동물은 이용 대상으로 취급하는 건 그래서 인간중심주의이다.

조홍섭 환경전문기자 ecothink@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자살학생 마지막 문자는 “장례식 오면 가만안둬”
이건희 “한푼도 못 줘…고소하면 고소하고 헌재까지 갈것”
“안철수 입장 빨리 밝혀라”…‘안달복달’ 새누리
새누리, 승자의 변심…김형태·문대성 처리 유보
‘성추행 정직 6개월’ 피디가 MBC 마감뉴스 맡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미래&과학 많이 보는 기사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1.

고도 100km서 2분간 달 중력 비행 성공

툭 튀어나온 사람의 귀, 물고기 ‘아가미 유전자’서 진화했다 2.

툭 튀어나온 사람의 귀, 물고기 ‘아가미 유전자’서 진화했다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3.

초속 9km ‘초음속 강풍’ 부는 외계행성 발견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4.

한국천문학회, 머스크의 스타링크 겨냥 “하늘은 조용해야”

지구와 충돌 2032년 12월22일…확률 1% 넘는 소행성, 지금 위치는 5.

지구와 충돌 2032년 12월22일…확률 1% 넘는 소행성, 지금 위치는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