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인“단일화 과정서 필요성 절감”
진보진영 일제히 환영…새누리 반대
진보진영 일제히 환영…새누리 반대
*결선투표제 : 1차 투표의 1, 2위끼리 재선거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통령 후보가 27일 “대통령이 되면 (대선) 결선투표제를 도입하겠다”는 공약을 발표했다. 결선투표제는 대선에 나선 후보들을 대상으로 투표를 해서 유효투표의 과반을 차지하는 후보가 없을 경우, 1~2위 후보가 다시 선거를 치러 투표 참여 유권자 과반의 동의를 얻어 대통령이 되도록 하는 제도다.
문 후보는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열린 유세에서 “(지금껏 발표한 공약 외에) 국민들께 한가지 약속을 더 드리겠다. 대선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해 결선에 나갈 후보를 국민이 직접 선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문 후보의 발표 뒤 결선투표제 도입을 주장해왔던 진보정의당 등 진보진영은 일제히 환영의 뜻을 밝혔다.
문 후보의 이번 공약은 이번 야권 대선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문 후보 스스로 이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낀 게 배경이 됐다. 문 후보 캠프의 인사들은 “문 후보가 회의 등에서 ‘승자독식이나 임의적 단일화가 아니라, 국민에 의한 단일화가 필요하다. 이번 단일화 과정에서 절실히 느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문 후보 캠프의 김현 대변인은 “문 후보가 국민에 의한 제도적 단일화, 다수를 대표하는 국민적 정당성과 민주적 대표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했다. 특히 단일화 방식에 대한 논의에만 매몰돼 치열한 정책경쟁이 이뤄지지 못한 점에 대한 반성적 성찰에서 나온 공약”이라고 설명했다. 1987년 이후 역사적으로 야권 후보 간의 갈등을 겪은 경험도 작용한 듯하다.
박근혜 새누리당 대통령 후보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결선투표제와 관련해 “상당히 부작용이 심하다. 우리나라는 양당제가 정착되고 있는데 결선투표를 하게 되면 다당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다당제는 대통령제하고는 잘 안 맞는다”며 반대 뜻을 내비친 바 있다. 이정현 공보단장은 27일 <한겨레>와의 전화통화에서 “결선투표는 대통령이 결정할 일이 아니라, 정치권과 학계 논의, 국민적 공감대가 필요한 일”이라고 말해 사실상 반대 의사를 내비쳤다.
석진환 신승근 기자 soulfat@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캐스트 #1] 박근혜·문재인 누가 이길까?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TV토론’ 방청객 질문까지 ‘사전조율’ 논란
■ 박 ‘박정희 대 노무현’ 문 ‘과거 대 미래’ 프레임전쟁 시작
■ 일 ‘홍백가합전’ 한국가수 쏙 뺀 까닭은?
■ 중국 누리꾼 ‘항모 스타일’ 패러디 열풍
■ 자동차 블랙박스 ‘저질 중국산’ 주의보
■ 원더걸스 선예, 내년 1월 선교사와 결혼
■ 예의 없는 학생, 그들이 내 스승
![](http://img.hani.co.kr/section-image/12/news/hani/images/com/ico/ico_movie.gif)
■ ‘박근혜 TV토론’ 방청객 질문까지 ‘사전조율’ 논란
■ 박 ‘박정희 대 노무현’ 문 ‘과거 대 미래’ 프레임전쟁 시작
■ 일 ‘홍백가합전’ 한국가수 쏙 뺀 까닭은?
■ 중국 누리꾼 ‘항모 스타일’ 패러디 열풍
■ 자동차 블랙박스 ‘저질 중국산’ 주의보
■ 원더걸스 선예, 내년 1월 선교사와 결혼
■ 예의 없는 학생, 그들이 내 스승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