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8대 대통령 선거 부재자투표 신고 접수가 25일로 끝난 가운데, 부재자 신고 기간 전체 5일 중 이틀이 주말이어서 신고접수 기간이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주말에도 신고접수를 할 수 있는데도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주민센터가 이를 제대로 알리지 않은 점도 도마에 오르고 있다. 누리꾼들은 스스로 부재자투표 신고방법을 공유하며 자구책을 마련하느라 애썼다.
중앙선관위는 11월20일 보도자료를 내어 “18대 대선 부재자 신고는 11월21일부터 25일 오후 6시까지 본인의 주민등록지를 관할하는 시·군·구의 장이나 읍·면·동의 장에게 우편발송하거나 직접 제출하면 된다”고 밝혔다. 신고기간 중 토요일인 24일과 일요일인 25일이 주말이다.
중앙선관위 공보과 관계자는 “부재자투표 신고기간은 법규에 따라 정해져있기 때문에 신고기간에 주말이 포함된다고 해서 선관위가 자체적으로 조정할 수 없다. 미리 주말에도 신고접수가 가능하다고 안내하지는 못했지만, 공문을 미리 보내 우체국과 시·군·구의 주민센터에 (주말에도) 신고접수를 받도록 협조를 요청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서울시의 몇몇 주민센터는 신고접수 마지막날인 25일 오전까지 아예 출근을 하지 않았거나, 당직자가 있더라도 부재자 투표 신고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가 있었다. <한겨레>가 이날 오전 서울시내 7곳의 주민센터에 전화를 해보니, 2곳은 오전 내내 전화를 받지 않았고, 1곳은 오전 11시부터 안내를 시작했다. 강북의 한 주민센터의 직원은 “부재자투표를 하려면 구청에 먼저 가야한다”고 잘못된 안내를 하기도 했다.
트위터에서는 관계당국의 무성의와 홍보 부족을 비판하는 여론이 거세다. 트위터 아이디 @now**는 “부재자투표 신고를 받는 각 주민센터에서 준비가 부실하고 안내가 미흡해 불편하다”고 적었다. @jun**는 “부재자 투표를 하려면 미리 신고를 해야 한다는 것도 제대로 홍보가 되지 않았는데 5일 중에 주말까지 포함돼 시간이 너무 부족하다”고 말했다.
신고 마감을 앞두고 유일하게 신고를 할 수 있는 방법 역시 선관위가 아닌 누리꾼들이 직접 찾아서 공유했다. 트위터 아이디 @sun**는 “부재자투표 신고하려면 오늘 신분증 들고서 근처에 있는 아무 동사무소로 가면 된다. 거기서 팩스로 먼저 신청해주고, 신청서 원본은 우편으로 별도 발송하면 된다”고 말했다. 선관위 공보과 관계자는 “개인이 팩스로 부재자 투표를 신고할 순 없지만, 주민센터나 우체국에서 보낸 팩스는 일단 신고접수를 받은 걸로 인정한다. 하지만 추후에 신고서 원본을 발송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팩스로 신고접수를 받는 제도에는 일부 허점도 엿보인다. 팩스 신청은 반드시 주민센터나 우체국을 통해야 하지만, 이 기관이 팩스 발송을 거절해도 강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선관위 공보과 관계자는 “주민센터와 우체국이 팩스로 신청을 해주는 것은 잘못 발송된 우편물이 있을 경우를 대비한 제도이기 때문에 이 기관들이 찾아오는 모든 사람들의 신청서를 팩스로 보내도록 (담당 주민센터를) 강제할 수 있는 근거가 없다”고 밝혔다.
24일 현재 부재자 투표 신고자는 83만3038명이다.
윤형중 기자 hjyo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그렇게 잡은 참치를 먹는 것이 정당할까요?”
■ 42년 산 식물인간 딸 곁에서 엄마는 그렇게…
■ 박근혜 앗! 실수 “대통령직을 사퇴합니다”
■ “나는 교회가고 아내는 절에 보내”며 표밭 다지는 정치인들
■ ‘자랑스런 동아일보’는 이렇게 추락했다
■ 아시아발 환율전쟁 시작되는가
■ [화보] 후보사퇴 안철수 ‘눈물’
■ “그렇게 잡은 참치를 먹는 것이 정당할까요?”
■ 42년 산 식물인간 딸 곁에서 엄마는 그렇게…
■ 박근혜 앗! 실수 “대통령직을 사퇴합니다”
■ “나는 교회가고 아내는 절에 보내”며 표밭 다지는 정치인들
■ ‘자랑스런 동아일보’는 이렇게 추락했다
■ 아시아발 환율전쟁 시작되는가
■ [화보] 후보사퇴 안철수 ‘눈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