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회창 무소속 대통령후보가 28일 오전 서울 여의도 대신증권 본사앞에서 객장으로 들어가면서 옷맴시를 가담듬는동안 보도진이 촬영을 멈춰줄것을 요구하고 있다. 김종수 기자 jongsoo@hani.co.kr
"기호 순대로 읽으면 불리"
무소속 이회창 후보측이 `기호 12번'에 웃다가 울 태세다.
기호 12번을 받았을 당시에는 `어정쩡한' 중간대 번호를 받기 보다는 맨 끝 번호를 받는 것이 유권자들의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환영하는 분위기였다. 또 이회창 후보가 인용해 온 `상유십이 순신불사(尙有十二 舜臣不死)'(아직 12척의 배가 남아있고 신은 죽지 않았습니다)와도 공교롭게 일치하자 `상서로운' 기호라고 의미를 부여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는 곧바로 우려로 바뀌었다. 대선후보가 12명이나 되는 상황에서 여론 조사기관이 기호 순으로 후보들 이름을 불러주고 지지율을 조사한다면 맨 끝에 있는 이회창 후보의 이름을 다 들을 `인내심'을 가질 유권자들이 많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다. 28일 오전 캠프 회의에서도 "이런 방식이라면 이회창 후보에게 너무 치명적"이라며 심각한 문제 제기가 이뤄졌다는 후문이다.
이 때문에 회의에서는 첫 유권자에게는 1번→12번 순서로, 그 다음 유권자에게는 12번→1번의 순서로 여론 조사를 실시해야 하고, 그 비율도 동등하게 맞춰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고 한다.
강삼재 캠프 전략기획팀장도 기자와 만나 "기호 순으로 읽는다면 12번을 받은 이회창 후보가 불이익을 받을 수 밖에 없다"면서 "캠프 법률지원팀에서도 공평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며, 여론조사 기관에 대해서도 이 문제에 대한 해법을 모색해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여론조사 기관들도 이 같은 우려에 대해 어느 정도 공감하는 분위기다.
국내 최대 여론조사 기관인 한국갤럽 측 관계자는 "기호가 정해지지 않았을 때에는 후보들 이름을 번갈아가면서 읽어줬지만 기호가 정해진 만큼 앞으로 여론조사를 기호 순대로 읽을 지, 돌아가면서 읽을 지에 대한 의사 결정이 있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돌아가면서 읽는 방식'이란 예를 들어 첫 번째 유권자에게는 1~10.11.12번 순서대로 읽었다면, 다음 유권자에게는 2~11.12.1번, 그리고 그 다음에는 3~12.1.2번 순으로 읽어주는 방식이다.
이 관계자는 "돌아가면서 읽으면 앞 부분에 기호를 받으신 분들은 왜 기호 순대로 안 읽느냐고 항의할 것이고, 뒤에 계신 분들은 기호대로 읽으면 우리가 손해 아니냐고 이의를 달 수 있다"며 고민을 내비쳤다.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