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정치일반

대선가도 초입, 고건발 정계개편 시나리오

등록 2006-06-02 11:13

여, 고건, 민주 3자 주도권 탐색전
여 전열정비속 고건.민주 움직임 주목
5.31 지방선거의 후폭풍 속에 정치권내의 빅뱅 움직임이 점차 가시권에 접어드는 분위기다.

이런 기류는 지방선거 참패로 인해 1차적 진원지로 예상됐던 여당 보다는 오히려 `여당 밖'에서 먼저 움트고 있다.

고 건(高 建) 전 총리가 정계개편을 견인해낼 `태풍의 눈'으로 급부상하고 있고, 민주당은 정계개편의 주역을 자처하고 나선 것.

이들 시나리오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대연합론' 또는 `통합론'이다. 범민주세력, 중도실용세력, 범개혁세력으로 표현되는 `공통지대'의 세력군을 연대 또는 통합하는 작업을 주도해 나가겠다는게 여당, 고 전총리, 민주당 3자의 동일한 구상이다.

그러나 당장 현실적 동력이 뒷받침될지는 미지수다. 대권게임의 출발선에 선 각 세력이 정계개편을 유리한 방향으로 끌어가려는 탐색전 내지 주도권 경쟁의 의미가 강해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정계개편 시나리오는 이들 3자중 누가 주도권을 쥐고 정치판의 틀을 바꿔나가느냐에 모아지고 있으며, 그 대전제는 여당의 분화가 될 것이라는데 대체적인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고건발(發) 정계개편 =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 줄곧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무소속의 고 전 총리가 정계개편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도실용주의 개혁세력을 아우르는 신당 성격의 연대모임을 내달중 결성하겠다는게 고 전 총리의 플랜이다. 여권발 정계개편론의 `수동적' 대상으로 지목돼온 고 전 총리가 오히려 정계개편의 `능동적' 주체로 나선다는 입장을 공식화한 셈이다.


이는 사실상 여당의 분열을 전제로 한 시나리오의 성격이 강하다. 선거참패의 충격으로 당내 세력들이 제 살길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고 전총리의 `연대' 시나리오가 현실적 동력을 가질 것이란 분석이다.

주목할 점은 여당 내에서도 고 전 총리와의 연대를 현실적 흐름으로 받아들이는 기류가 강하다는 점이다. "현 주자로는 안된다"는 여당내의 폭넓은 차기 대선비관론이 주된 배경이다. 여당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보수적 색채가 강한 그룹인 `안정적 개혁 모임'(안개모) 등이 적극적이고, 정동영계와 김근태(金槿泰)계도 차기 대선에서 고 전총리의 역할에 상당한 무게를 두고 있는 분위기다.

당내 재야파의 리더인 김근태(金槿泰) 최고위원과의 연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최고위원은 2월 전대경선 과정에서 고 전 총리와의 연대를 고리로 한 대연합론을 제창한 바 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두 사람이 결합할 경우 `보수 플러스 개혁'의 시너지 효과가 나올 것이란 전망도 있다.

고건발 정계개편은 여당을 넘어 민주당과 국민중심당 등 군소정당과의 제휴도 아우르고 있다. 한나라당내에서 고 전 총리와 친한 일부 세력들의 이탈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與 `핵분열' 정계개편 = 선거참패의 충격속에 구심력을 상실한 여당의 `핵분열'로 정계개편이 촉발될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이 여전히 높다.

당장 지도부 공백으로 구심력을 잃은 여당은 향후 당의 진로를 놓고 분열 수순을 밟을 것이란게 정치전문가들의 대체적 시각이다. 다만 뇌관이 여당내에서 제기된 `대연합론'이 될지, 아니면 고건발 정계개편이 될 지는 미지수다.

정동영(鄭東泳)의장이 선거막판 제기한 대연합론은 당내 계파들 사이에 가급적 문제제기를 삼가려는 분위기여서 당장의 불씨로 작용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보다는 현시점에서 고건발 정계개편론은 여당에 직접적인 충격파로 다가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당내에서는 정동영계.김근태계가 고 전총리와의 연대와 민주당 통합론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친노그룹은 이를 `지역구도의 복원'으로 간주하며 강력히 반발할 소지가 크다. 당내 갈등양상에 따라서는 친노그룹의 이탈 내지 정동영.김근태계의 탈당후 신당 창당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발 정계개편 = 광주.전남이라는 확고한 지역기반을 가진 민주당이 정계개편을 추동하는 시나리오도 나온다. 여당이 주장하는 민주개혁세력 대연합론의 `민주당' 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민주당이 갖는 군소정당의 한계를 감안할 때 정계개편을 `주도'하기 보다는 일종의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여당 또는 고 전총리세력이 추진하는 정계개편 과정에서 협상력을 발휘하며 `지분 높이기'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특히 여당과의 통합론과 관련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탈당 및 친노세력과의 결별을 주장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이날 MBC라디오 `시중집중'에 출연, 여당과의 통합에 대해 "당 대 당 통합은 지금 단계에서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 다만 어떻게 생각을 갖추는가는 협의대상이 될 수 있다"고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한 대표는 또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에 대해 "정계개편의 여건조성을 얘기할때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영호남 화합'이라는 명분을 내걸고 한나라당과의 연합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가능성은 희박하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전광훈이 이끄는 극우 정당, 국힘 하기에 달렸다 1.

윤석열·전광훈이 이끄는 극우 정당, 국힘 하기에 달렸다

민주 “국힘, 탄핵 불복 빌드업 즉각 중단하라” 2.

민주 “국힘, 탄핵 불복 빌드업 즉각 중단하라”

윤석열 지지자들, 구치소 앞 ‘떡국 세배’…이준석 “제사상 같아” 3.

윤석열 지지자들, 구치소 앞 ‘떡국 세배’…이준석 “제사상 같아”

이재명 “경호처장 공관, 해병대 사령관 공관으로 복원해야” 4.

이재명 “경호처장 공관, 해병대 사령관 공관으로 복원해야”

권영세·권성동·나경원 3일 윤석열 면회…“개인적 차원” 5.

권영세·권성동·나경원 3일 윤석열 면회…“개인적 차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