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 고건, 민주 3자 주도권 탐색전
여 전열정비속 고건.민주 움직임 주목
여 전열정비속 고건.민주 움직임 주목
5.31 지방선거의 후폭풍 속에 정치권내의 빅뱅 움직임이 점차 가시권에 접어드는 분위기다.
이런 기류는 지방선거 참패로 인해 1차적 진원지로 예상됐던 여당 보다는 오히려 `여당 밖'에서 먼저 움트고 있다.
고 건(高 建) 전 총리가 정계개편을 견인해낼 `태풍의 눈'으로 급부상하고 있고, 민주당은 정계개편의 주역을 자처하고 나선 것.
이들 시나리오를 관통하는 키워드는 `대연합론' 또는 `통합론'이다. 범민주세력, 중도실용세력, 범개혁세력으로 표현되는 `공통지대'의 세력군을 연대 또는 통합하는 작업을 주도해 나가겠다는게 여당, 고 전총리, 민주당 3자의 동일한 구상이다.
그러나 당장 현실적 동력이 뒷받침될지는 미지수다. 대권게임의 출발선에 선 각 세력이 정계개편을 유리한 방향으로 끌어가려는 탐색전 내지 주도권 경쟁의 의미가 강해 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정계개편 시나리오는 이들 3자중 누가 주도권을 쥐고 정치판의 틀을 바꿔나가느냐에 모아지고 있으며, 그 대전제는 여당의 분화가 될 것이라는데 대체적인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고건발(發) 정계개편 =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 줄곧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무소속의 고 전 총리가 정계개편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중도실용주의 개혁세력을 아우르는 신당 성격의 연대모임을 내달중 결성하겠다는게 고 전 총리의 플랜이다. 여권발 정계개편론의 `수동적' 대상으로 지목돼온 고 전 총리가 오히려 정계개편의 `능동적' 주체로 나선다는 입장을 공식화한 셈이다.
이는 사실상 여당의 분열을 전제로 한 시나리오의 성격이 강하다. 선거참패의 충격으로 당내 세력들이 제 살길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고 전총리의 `연대' 시나리오가 현실적 동력을 가질 것이란 분석이다. 주목할 점은 여당 내에서도 고 전 총리와의 연대를 현실적 흐름으로 받아들이는 기류가 강하다는 점이다. "현 주자로는 안된다"는 여당내의 폭넓은 차기 대선비관론이 주된 배경이다. 여당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보수적 색채가 강한 그룹인 `안정적 개혁 모임'(안개모) 등이 적극적이고, 정동영계와 김근태(金槿泰)계도 차기 대선에서 고 전총리의 역할에 상당한 무게를 두고 있는 분위기다. 당내 재야파의 리더인 김근태(金槿泰) 최고위원과의 연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최고위원은 2월 전대경선 과정에서 고 전 총리와의 연대를 고리로 한 대연합론을 제창한 바 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두 사람이 결합할 경우 `보수 플러스 개혁'의 시너지 효과가 나올 것이란 전망도 있다. 고건발 정계개편은 여당을 넘어 민주당과 국민중심당 등 군소정당과의 제휴도 아우르고 있다. 한나라당내에서 고 전 총리와 친한 일부 세력들의 이탈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與 `핵분열' 정계개편 = 선거참패의 충격속에 구심력을 상실한 여당의 `핵분열'로 정계개편이 촉발될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이 여전히 높다. 당장 지도부 공백으로 구심력을 잃은 여당은 향후 당의 진로를 놓고 분열 수순을 밟을 것이란게 정치전문가들의 대체적 시각이다. 다만 뇌관이 여당내에서 제기된 `대연합론'이 될지, 아니면 고건발 정계개편이 될 지는 미지수다. 정동영(鄭東泳)의장이 선거막판 제기한 대연합론은 당내 계파들 사이에 가급적 문제제기를 삼가려는 분위기여서 당장의 불씨로 작용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보다는 현시점에서 고건발 정계개편론은 여당에 직접적인 충격파로 다가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당내에서는 정동영계.김근태계가 고 전총리와의 연대와 민주당 통합론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친노그룹은 이를 `지역구도의 복원'으로 간주하며 강력히 반발할 소지가 크다. 당내 갈등양상에 따라서는 친노그룹의 이탈 내지 정동영.김근태계의 탈당후 신당 창당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발 정계개편 = 광주.전남이라는 확고한 지역기반을 가진 민주당이 정계개편을 추동하는 시나리오도 나온다. 여당이 주장하는 민주개혁세력 대연합론의 `민주당' 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민주당이 갖는 군소정당의 한계를 감안할 때 정계개편을 `주도'하기 보다는 일종의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여당 또는 고 전총리세력이 추진하는 정계개편 과정에서 협상력을 발휘하며 `지분 높이기'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특히 여당과의 통합론과 관련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탈당 및 친노세력과의 결별을 주장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이날 MBC라디오 `시중집중'에 출연, 여당과의 통합에 대해 "당 대 당 통합은 지금 단계에서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 다만 어떻게 생각을 갖추는가는 협의대상이 될 수 있다"고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한 대표는 또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에 대해 "정계개편의 여건조성을 얘기할때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영호남 화합'이라는 명분을 내걸고 한나라당과의 연합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가능성은 희박하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이는 사실상 여당의 분열을 전제로 한 시나리오의 성격이 강하다. 선거참패의 충격으로 당내 세력들이 제 살길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고 전총리의 `연대' 시나리오가 현실적 동력을 가질 것이란 분석이다. 주목할 점은 여당 내에서도 고 전 총리와의 연대를 현실적 흐름으로 받아들이는 기류가 강하다는 점이다. "현 주자로는 안된다"는 여당내의 폭넓은 차기 대선비관론이 주된 배경이다. 여당 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보수적 색채가 강한 그룹인 `안정적 개혁 모임'(안개모) 등이 적극적이고, 정동영계와 김근태(金槿泰)계도 차기 대선에서 고 전총리의 역할에 상당한 무게를 두고 있는 분위기다. 당내 재야파의 리더인 김근태(金槿泰) 최고위원과의 연대 가능성도 제기된다. 김 최고위원은 2월 전대경선 과정에서 고 전 총리와의 연대를 고리로 한 대연합론을 제창한 바 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두 사람이 결합할 경우 `보수 플러스 개혁'의 시너지 효과가 나올 것이란 전망도 있다. 고건발 정계개편은 여당을 넘어 민주당과 국민중심당 등 군소정당과의 제휴도 아우르고 있다. 한나라당내에서 고 전 총리와 친한 일부 세력들의 이탈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진다. ◇與 `핵분열' 정계개편 = 선거참패의 충격속에 구심력을 상실한 여당의 `핵분열'로 정계개편이 촉발될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이 여전히 높다. 당장 지도부 공백으로 구심력을 잃은 여당은 향후 당의 진로를 놓고 분열 수순을 밟을 것이란게 정치전문가들의 대체적 시각이다. 다만 뇌관이 여당내에서 제기된 `대연합론'이 될지, 아니면 고건발 정계개편이 될 지는 미지수다. 정동영(鄭東泳)의장이 선거막판 제기한 대연합론은 당내 계파들 사이에 가급적 문제제기를 삼가려는 분위기여서 당장의 불씨로 작용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나온다. 그보다는 현시점에서 고건발 정계개편론은 여당에 직접적인 충격파로 다가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당내에서는 정동영계.김근태계가 고 전총리와의 연대와 민주당 통합론에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지만 친노그룹은 이를 `지역구도의 복원'으로 간주하며 강력히 반발할 소지가 크다. 당내 갈등양상에 따라서는 친노그룹의 이탈 내지 정동영.김근태계의 탈당후 신당 창당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도 있다. ◇민주당발 정계개편 = 광주.전남이라는 확고한 지역기반을 가진 민주당이 정계개편을 추동하는 시나리오도 나온다. 여당이 주장하는 민주개혁세력 대연합론의 `민주당' 판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민주당이 갖는 군소정당의 한계를 감안할 때 정계개편을 `주도'하기 보다는 일종의 `캐스팅 보트'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여당 또는 고 전총리세력이 추진하는 정계개편 과정에서 협상력을 발휘하며 `지분 높이기'를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민주당은 특히 여당과의 통합론과 관련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탈당 및 친노세력과의 결별을 주장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 한화갑(韓和甲) 대표는 이날 MBC라디오 `시중집중'에 출연, 여당과의 통합에 대해 "당 대 당 통합은 지금 단계에서 생각하지 않고 있다"며 " 다만 어떻게 생각을 갖추는가는 협의대상이 될 수 있다"고 유연한 태도를 보였다. 한 대표는 또 노무현 대통령의 탈당에 대해 "정계개편의 여건조성을 얘기할때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민주당 일각에서는 `영호남 화합'이라는 명분을 내걸고 한나라당과의 연합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있지만 현실적으로 가능성은 희박하다. 노효동 기자 rhd@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