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텃밭서 여당후보 당선 ‘한나라당 텃밭’인 경남에서 한나라당 후보를 꺾고 밀양시장에 당선된 열린우리당 엄용수 당선자가 1일 당선이 확정된 직후 지지자들의 박수를 받고 있다. 밀양/연합뉴스
지역별 특징 보니
5·31 지방선거가 한나라당의 압승으로 막을 내렸다. 하지만 일부 시·도에서는 의미있는 선거결과도 나타났으며, 지방선거답게 지역별로 특징적인 면모를 보였다.
충북 기초단체장 여·야·무소속 ‘황금분할’
충북·충남=충북도는 한나라당의 우세 속에 여·야·무소속 등이 골고루 단체장을 나눠 차지하는 ‘황금분할’을 이뤘다. 열린우리당은 남부권인 보은·옥천·영동과 진천군수를 차지했다. 남부 3군은 각종 여론조사에서도 열세를 보였지만 이용희 국회의원의 저력이 빛을 발했으며, 진천은 현직 군수 3선 저지론이 이변을 불렀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부권인 음성·괴산·증평은 ‘정권 심판’ ‘박풍’ 등 정치적 바람 속에서도 무소속 출신이 당선됐다. 한나라당은 북부권인 충주·제천·단양과 청주·청원을 따냈다. 기초 단체장 수만 보면 여당 4곳, 야당 5곳, 무소속 3곳 등으로 어느 정도 균형을 이뤘다.
충남지역도 국민중심당 7곳, 한나라당 6곳, 열린우리당 3곳으로 분점돼 주도권 다툼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먼저 한나라당은 이번 선거에서 처음으로 충남지사를 거머쥔데다 기초단체장 16곳 가운데 6곳에서 승리하며 확실한 기반을 다진 것으로 평가된다. 2002년 지방선거에서 한나라당은 당시 15곳 중 4곳만을 차지했었다. 충청권 대안정당을 표방한 국민중심당은 공천과정에서의 혼선과 잡음 등으로 기존 정당과의 차별성 부각에 실패하면서 7개 단체장을 얻는 데 그쳤다. 중앙 정치의 거센 바람몰이 속에서도 그나마 이런 성과를 일궈냈다는 점에서 지역 대안정당의 가능성을 확인한 셈이다. 열린우리당은 행정수도 추진 원조당으로서 ‘제2의 청와대 설치’ 등을 통해 행정중심 복합도시를 사실상 행정수도로 만들겠다며 표심을 자극했으나 이슈로 부각시키는 데는 성공하지 못해 평년작에 그쳤다.
영남 72곳중 2곳서 열린우리 첫 당선
경북·경남=한나라당 텃밭인 경북지역에 출마한 무소속 후보들이 박근혜 대표 피습 뒤 불어닥친 한나라당 돌풍을 뚫고 선전했다. 무소속 후보들은 23개 기초단체장 가운데 군위·고령·의성·울릉 등 4곳에서 당선됐다. 또 영천·영양·청송·봉화·상주 등에서 한나라당 후보들과 막판까지 접전을 펼쳤다. 이에 대해 지역 정가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현직 프리미엄이나 자체 지명도에서 앞섰고, 공천에 대한 반발로 지역 당조직이 이완된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경남지역만 볼 때 이번 기초단체장 선거 결과는 ‘열린우리당의 선전, 한나라당의 저조’로 요약할 수 있다. 열린우리당은 영남권 72개 기초단체장 선거구를 통틀어 2곳에서 당선자를 냈다. 통합 민주당 시절을 포함해 열린우리당이 경남에서 기초단체장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제주서는 민노당 정당득표 20%…진보정치 ‘밑돌’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도지사와 도의원, 교육의원만을 뽑은 제주지역의 민주노동당이 8%를 득표하면서 자체 목표였던 비례대표 2석 진출에는 실패했으나 정당득표에서 20.1%를 기록함으로써 16개 시·도 정당득표에서 울산에 이어 두번째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주지역에서의 진보정치의 가능성을 확인하게 됐다. 민주노동당은 7명의 비례대표 대의원을 배정하기 위한 정당득표에서 한나라당 45.3%, 열린우리당 26.6%에 이어 20.1%로 3위를 기록했으며, 민주당은 8.0%를 얻었다. 이번 정당득표는 지난 2002년 지방선거에서 얻은 10.68%에 비해 갑절 높아진 것이어서, 민주노동당이 제주지역에서 정치세력으로 뿌리내렸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민주노동당은 5명의 도의원 후보를 냈으나 북제주군 구좌읍에서 안동우 후보가 재선에 성공했다.
호남 기초단체장 무소속 30%…‘인물’ 택한 표심
광주·전남·전북=호남지역의 기초단체장 당선자 41명 가운데 20명은 민주당, 12명은 무소속, 9명은 열린우리당 후보였다. 전체적으로 민주당이 약진했으나 무소속 후보들이 선전을 펼쳐 당선자의 30%를 차지했다.
전북은 14곳 중 민주당이 군산·남원·고창·부안·완주 등 5곳에서 이겼다. 열린우리당은 전주·익산·진안·순창 등 4곳을 건졌고, 무소속은 정읍·김제·무주·임실·장수 등 5곳에서 당선했다.
전남은 22곳 중 민주당이 목포·여수·순천·광양·강진·해남·담양·보성·고흥·화순 등 10곳에서 당선자를 냈다. 무안·완도·진도·구례·영암 등 5곳에서 열린우리당, 나주·함평·곡성·장흥·영광·신안·장성 등 7곳에서 무소속 후보가 승리했다. 다만 광주는 민주당이 전략공천과 교통정리로 구청 5곳을 모두 휩쓸며 싹쓸이했다.
이런 무소속의 돌풍은 3선에 성공한 이석형 함평군수 당선자, 세번째 대결에서 현직을 꺾은 조형래 곡성군수 당선자, 민주당 후보한테 두차례 연승한 신정훈 나주시장 당선자 등 중량급 무소속 후보들의 자질과 뚝심에서 비롯됐다. 또 기초단체장 당선자 41명 가운데 25명이 새인물이어서 정당의 바람보다 인물의 자질이 표심을 움직이는 기준이 됐음을 보여준다. 이밖에 선거 막판에 잇따른 이원영 열린우리당 의원의 ‘광주사태 질서유지군 투입’과 문재인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현 정권은 부산정권’ 등 실언도 여당 거부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풀이된다.
울산=민주노동당이 ‘진보정당 1번지’로 꼽으며 텃밭으로 여겼던 울산 동·북구청 수성에 실패에 대해 다양한 원인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지역정가에선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피습이 동·북구의 패배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하고 있다. 박 대표에 대한 동정론이 퍼지면서 현대자동차·현대중공업 노동자들이 밀집한 두 곳의 부동표가 한나라당 후보 쪽으로 쏠렸다는 것이다. 자성론도 만만찮다. 지난 8년 동안 민주노동당 구청장들이 주민들의 입장을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고 미래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하는 등 행정 능력에 한계를 노출했다는 것이다. 민주노동당 안 고질적인 정파간 대립에서 원인을 찾기도 한다.
한 당직자는 “고질적인 정파싸움의 병폐가 이번 선거에서도 여지없이 드러났다”며 “노동운동 진영이 큰 틀에서 진정으로 연대하지 않으면 다음 선거에서도 참패를 면치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역종합 sks2191@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