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한나라당 원내대표(가운데)가 14일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회의에서 김덕룡·박성범 의원의 공천헌금 파문에 대해 사과한 뒤 차를 마시고 있다. 이종찬 기자 rhee@hani.co.kr
당내 영남·수도권 의원 8명 연루설 솔솔
소장파 정풍운동 제기에 중도파 제지도
소장파 정풍운동 제기에 중도파 제지도
한나라당이 공천비리의 수렁에서 허우적거리고 있다. 수렁에서 빠져나오기보다는 점점 깊이 가라앉는 형국이다.
김덕룡·박성범 의원의 공천헌금 수수가 불거진 뒤 이틀 만인 14일 영남권 김아무개 의원과 서아무개 전 의원이 수사대상에 오르고, 경남 김해시장 공천자가 중도탈락하는 등 비리 의혹이 잇따르자 총체적 위기에 빠졌다.
추가 비리 조사 확대= 허태열 사무총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전날 ‘공천비리 추가조사 대상이 5~6건 있다’고 말한 것과 관련해 “당 클린공천감찰단에서는 1천만원이 넘는 건을 다 조사한다”며 “검찰 수사가 진행중인 곽성문 의원을 포함해 5~6건의 공천비리 제보를 추가 조사하고 있다”고 재확인했다. 허 총장은 또 이날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사안에 따라 수사 의뢰, 공천 보류 등으로 결론날 수 있다”고 말했다.
클린공천감찰단의 조사대상에는 현역 의원 1명과 수도권 원외위원장 1명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이들은 모두 액수는 크지 않지만 돈을 받았고, 그 수법이 치졸한 경우도 있었다”고 전했다. 당 공천심사위원회에 속한 한 의원은 “확증은 없으나 2~3일이 지나면 뭔가 터져나올 것 같은 느낌”이라고 말했다.
당 안팎에서는 주로 ‘공천=당선’의 공식이 성립한다고 여겨지는 수도권과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공천비리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수도권에서 ㄱ의원을 비롯해 3명, 영남권에서 ㄱ의원을 비롯한 5명 등 현역 의원 8~9명의 이름이 비리 의혹 대상으로 오르내리고 있다. 경남 ㄱ의원의 경우엔 기초단체장 공천과 관련해 억대의 금품을 받았다는 소문이 구체적으로 나돌고 있다.
당 관계자는 “영남지역의 경우엔 기초의원 1억~3억원, 광역의원 3억~5억원, 기초단체장 10억원 등이 ‘공천 정가’라는 얘기까지 나돈다”고 밝혔다.
‘정풍운동’ 논란= 이재오 원내대표는 이날 주요당직자회의에서 “공천잡음에 대해 국민에게 진심으로 사과 말씀을 드린다”며 몸을 낮췄다. 이 원내대표는 그러면서도 “검찰 수사 의뢰는 한국 정치의 고질적 부패의 고리를 차단하고자 하는 혁명적 결단이었다”며, 전날 일부 소장파 의원이 제기한 ‘지도부 책임론’이 확산될 가능성을 차단하고 나섰다.
그러나 소장파인 원희룡 최고위원은 이날 <문화방송>과 <에스비에스> 라디오 방송에 잇따라 출연해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개혁에 나서야 한다”며 다시 ‘정풍운동’을 제기했다. 원 최고위원은 “구태와 단절하기 위한 노력이 신뢰받기 위해서는 자기변신, 자기희생의 모습이 필요하다”며 “이런 사태를 놓고 정풍의 모습이 없는 정당이 오히려 비정상적인 것이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당내 중도의원 모임인 ‘푸른정책연구모임’의 공동대표인 임태희 의원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당 일부에서 제기하는 지도부 책임론은 당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뿐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논란이 커지자 전날 ‘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했던 소장파 모임인 ‘새정치수요모임’ 대표 박형준 의원은 “수요모임은 지도부가 정풍운동을 한다는 각오로 공천비리에 단호히 대처하길 기대하고 함께 동참할 것”이라며 한발 물러섰다. 박병수 기자 suh@hani.co.kr
이에 대해 당내 중도의원 모임인 ‘푸른정책연구모임’의 공동대표인 임태희 의원은 기자회견을 자청해 “당 일부에서 제기하는 지도부 책임론은 당의 어려움을 가중시킬 뿐 문제의 근본적 해결책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논란이 커지자 전날 ‘지도부 책임론’을 제기했던 소장파 모임인 ‘새정치수요모임’ 대표 박형준 의원은 “수요모임은 지도부가 정풍운동을 한다는 각오로 공천비리에 단호히 대처하길 기대하고 함께 동참할 것”이라며 한발 물러섰다. 박병수 기자 suh@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