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9일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하기 위해 런던의 한 호텔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각) 영국 런던에서 열린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장례식에 참석해 추모의 뜻을 전했다. 그러나 그 전날로 계획했던 윤 대통령의 ‘참배’ 일정이 무산된 것을 두고 뒷말이 나왔다.
윤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는 이날 오전 11시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열린 장례식에 검은색 정장과 원피스를 맞춰 입고 참석했다. 윤 대통령 부부는 사원 내부 각국 정상 몫으로 마련된 구역에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부부 등과 함께 자리했다. 윤 대통령은 장례식 참석 뒤 영국 왕실이 마련한 장소인 처치하우스에서 조문록에 “고 엘리자베스 2세 여왕님의 명복을 빌며 영국 왕실과 국민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 자유와 평화 수호를 위해 힘써오신 여왕님과 동시대 시간을 공유할 수 있어 영광이었습니다. 영원히 기억할 것입니다”라고 썼다.
앞서 윤 대통령은 전날 오후 3시30분께 런던 스탠스테드 공항에 도착한 직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관이 안치된 웨스트민스터 궁전 내 웨스트민스터홀을 찾아 여왕을 참배하고 조문록을 작성할 계획을 세웠으나, 이 일정은 소화하지 못한 채 찰스 3세 국왕 주최 리셉션에만 참석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참배가 불발된 데 대해 “어제(18일) 이른 오후까지 도착한 정상은 조문을 할 수 있었고, 런던의 복잡한 교통 상황으로 오후 2~3시 이후 도착한 정상은 오늘(19일)로 조문록 작성이 (영국 왕실로부터) 안내됐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과 달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나루히토 일본 국왕,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등 여러 정상들은 18일 웨스트민스터홀을 찾아 여왕의 관에 참배했다.
이번 장례식에는 각국 정상과 국빈급 인사 500여명이 참석하고, 런던 일대에 수백만명의 추모 인파가 몰릴 것으로 일찌감치 예고돼 있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지난 15일 “여왕의 시신이 안치되어 있는 웨스트민스터홀을 방문해 참배하고 조문록에 서명하는 일정도 현재 검토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조문 외교’를 위한 런던 방문에서 장례식 전 참배가 불발된 게 단순히 현지 교통 상황 때문인지, 영국과 사전 조율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은 아닌지 등 의문이 남는다. 교통 혼잡이 뻔히 예상되는 상황에서 장례식 전날 참배를 목표로 했다면 윤 대통령의 런던 도착 시간을 앞당길 수도 있었다.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윤석열 대통령 부부는 영국에 도대체 왜 간 것인가”라며 “윤석열 정부가 시작한 지 4개월에 불과한데 ‘외교 참사’가 계속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 수석은 “확인되지 않은 말들로 국내 정치를 위해 슬픔이 활용되는 것이 유감”이라며 “마치 우리가 홀대받은 것처럼 폄하하려는 시도에 대해선 잘 판단해달라”고 반박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런던 일정을 마치고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으로 향했다.
런던/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