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가운데)이 13일 충남자립지원전담기관에서 열린 자립준비청년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자립준비청년들을 만나 “혼자라는 생각이 들지 않도록 국가가 청년들을 보듬고 돕겠다”고 말했다. 자립준비청년은 부모가 없거나 양육하지 못해 아동복지시설이나 위탁가정에서 보호하다가 만 18살 이후 보호가 종료되는 청년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충남 아산시의 충남자립지원전담기관을 방문해 자립준비청년의 주거공간을 둘러본 뒤 자립준비청년들과 간담회를 했다. 추석 연휴 기간 동안 명동성당 무료급식소 배식 봉사와 전통시장 방문을 한 데 이은 ‘민생 현장 행보’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사실 우리 자립준비청년들의 문제점을 잘 몰랐다”며 대선 기간 중 자립준비청년을 만났던 일화를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얘기를 들어보니 국가가 (자립준비청년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지는 못하고 너무 내팽겨쳤더라”며 “(그동안 국가 방침이) 18세가 되면 별 준비 없이 돈 500만원을 쥐여주고 ‘사회에 나가 알아서 살아라’였는데, 대부분 소식이 끊겨 관리도 안 되니 사회에 정상적으로 적응할 수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지금까지 우리 사회가 이 문제를 방치한 것은 아닌지 부모 세대로서 부끄러웠다. 전보다 더욱 과감한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며 자립준비청년을 대상으로 한 지원 강화를 약속했다.
윤 대통령은 자립준비청년의 ‘홀로서기’를 위한 국가의 책임을 강조했다. 그는 “여기 있는 청년들의 능력과 열정에 국가가 좀 더 기회를 준다면 이들 모두 우리 사회의 소중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다”며 “자립준비청년들에게 기회의 평등을 보장하는 게 국가의 역할이자 책임”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약자 복지가 윤석열 정부의 복지 기조”라며 “정부가 경제 여건이 어려워서 긴축 재정을 한다고 해도 이런 부분에 대해 쓸 돈을 써가면서 청년들의 미래 준비를 위해 정부도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보육시설 출신 10대들의 극단적 선택을 두고 “국가가 전적인 책임을 지고 자립 준비 청년들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부모의 심정으로 챙겨달라”고 지시한 바 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에서도 이 일을 언급하며 “마음이 무겁고 무한한 책임을 느낀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자립준비청년이 직접 구운 빵을 전달받은 뒤 “여기 오기까지 많이 애쓰고 고생했다. 지금까지 보여준 용기와 투지를 정부가 더 살려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격려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안상훈 대통령실 사회수석비서관, 박민수 보건복지비서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현 복지부 1차관) 등이 참석했다.
배지현 기자
beep@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