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및 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예비경선대회에서 당대표 예비후보자들이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왼쪽부터 박용진 김민석 이동학 이재명 강훈식 강병원 박주민 설훈. 공동취재사진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경선이 강훈식(충남 아산을·재선), 박용진(서울 강북을·재선), 이재명(인천 계양을·초선) 의원의 3파전으로 치러진다.
민주당은 28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중앙위원 투표(70%)와 일반 여론조사결과(30%)를 반영해 예비경선을 진행한 결과 8명의 당대표 후보 중 강훈식·박용진·이재명 의원이 컷오프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날 예비경선에는 중앙위원 선거인단 383명 중 344명(89.82%)이 투표에 참여했다. 구체적인 득표율과 순위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날 예비경선 결과로 민주당 대표 경선은 ‘대세론’을 등에 업은 이 의원과 ‘세대교체론’을 앞세운 97그룹(90년대학번·70년대생) 주자들이 맞붙는 구도로 펼쳐지게 됐다. ‘어대명(어차피 당대표는 이재명)’ 기류가 본선에서도 유지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97그룹 주자 간 ‘단일화’ 여부가 굳어진 판세에 얼마만큼 영향을 줄 수 있을지 주요 변수로 떠오를 전망이다.
강훈식 의원은 이해찬 대표 체제에서 전략기획위원장을, 지난 대선 때는 선거대책위원회 전략기획본부장을 지낸 대표적인 당내 전략통이다. 건국대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충남 아산을에서 재선에 성공했다. 성균관대 총학생회장 출신인 박용진 의원은 당내 대표적인 소장파로 서울 강북을의 재선 의원이다. 20대 국회에서 ‘유치원 3법’을 주도하며 성과를 냈고, 조국 사태 당시에는 소장파 그룹인 ‘조금박해(조응천·금태섭·박용진·김해영)’로 불리며 당의 반성과 쇄신을 요구했다.
민주당은 다음달 28일 열리는 전국대의원대회에서 차기 당대표를 최종적으로 선출한다. 당대표·최고위원 선출을 위한 합동연설회는 다음달 6일(강원·경북·대구)을 시작으로 7일(제주·인천), 13일(울산·경남·부산), 14일(충남·충북·대전), 20일(전북), 21일(전남·광주), 27일(경기·서울) 순으로 진행된다.
심우삼 기자
wu3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