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현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이 20일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기자회견장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현안 관련 발표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20일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전면 해체에 대해 “마치 코로나가 없는 것처럼 모든 방역 조치를 해제하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다”고 말했다.
신용현 인수위 대변인은 이날 서울 종로구 통의동 인수위 사무실에서 연 정례 브리핑에서 “상중에 계신 안철수 인수위원장을 대신해서 코로나 대응 메시지를 전달하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신 대변인은 “(인수위) 코로나비상대응특별위원회를 포함해 많은 방역 의료 전문가들은 방역 조치 완화가 한꺼번에 이루어짐에 따라 자칫 방역 긴장감이 사회 전반적으로 약화하지는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며 “국내외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이번 가을, 겨울철 재유행을 경고하고 있고 오미크론 이후 신종 변이 위협도 남아있는 상황”이라며 경고했다.
신 대변인은 “일상회복을 하면서도 코로나 위협으로부터 고위험군 취약계층 보호하기 위한 조치 병행해 나가야 한다”며 “실외 마스크 프리 선언은 보다 신중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 대변인은 “마스크 착용은 모든 감염병 기본 수칙이자 최종 방어선”이라며 “국민께서 가장 잘 지켜주신 마스크 착용에 대해 정부가 섣불리 해제하지 않도록 당부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다음 달 초 실외 마스크 해체를 고려하는 데 대해 반대의 뜻을 밝힌 것이다.
신 대변인은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등 고위험 시설을 어떻게 보호할지, 지역에서 혼자 사시는 고위험군 취약계층 어르신들은 어떻게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보장할 수 있을지, 재유행이나 새로운 변이가 생기면 의료체제를 어떻게 재동원할지 등 많은 검토와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차기 정부는 충분한 검토를 거쳐 가능하다고 판단될 때 격리 의무를 해제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 대변인은 “인수위 내 코로나특위는 현행 요양시설로 국한된 코로나 백신 방문 접종을 경로당과 노인교실 같은 노인 여가시설까지 확대하는 것을 요청한 바 있다”며 “이에 정부는 ‘인수위 코로나특위의 요청을 받아들여 이번 주부터 즉시 시행하겠다’는 답변을 해왔다. 이번 조치로 요양시설뿐 아니라 거동이 어려운 고령층이 병·의원을 직접 방문해야 하는 어려움이 크게 해소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