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쿠데타에 반대하는 시민들에 대한 강경 진압으로 사망자가 550명을 넘어서면서 미얀마에 체류하고 있던 한국인들의 귀국 행보도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정부에서는 미얀마에 대한 여행경보를 3단계인 철수권고로 격상하고 중앙대책본부를 세워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5일 기자들과 만나 “양곤 등 일부 지역에 계엄령이 선포된 3월15일 전후로 귀국하는 재외국민 규모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며 “지금까지 411명이 귀국한 것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미얀마 군부가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한 지난 2월1일 이후 계엄령 선포까지 140명에 그쳤던 귀국 인원이 3월15일부터 4일까지 271명으로 급증했다는 것이다. 또 교민들의 귀국을 돕기 위해 이달 6일과 7일, 11일, 13일, 27일에 편성된 임시항공편으로 귀국을 예약한 교민은 5일까지 274명이라고 외교부 쪽은 설명했다. 미얀마 주재 한국대사관에서 파악한 바로는 귀국을 희망하는 교민이 100여명 정도다. 이들은 130~140명이 탑승 가능한 미얀마국제항공(MAI)편을 타고 귀국하게 된다.
현재 미얀마에 체류 중인 교민 3500여명 가운데 대기업 주재원 등이 분포한 만달레이와 네피도는 이미 상당수가 귀국한 상태다. 만달레이에 체류하던 120명 가운데 70여명이 철수했으며 30여명이 체류하던 네피도에 남아 있는 한국인은 10여명 수준이라고 한다. 교민의 90% 이상이 몰려있고 한국 기업 250여곳이 위치한 양곤의 경우는 생업을 버리고 떠날 수 없는 교민이 많은 상황이라고 외교부 쪽은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외교부는 3일 미얀마 전 지역의 여행경보를 3단계(철수권고)로 올렸다. 여행은 취소·연기하고 미얀마에 체류 중인 국민은 긴요한 용무가 아닌 한 철수해달라는 것이다. 현재 미얀마 체류와 관련해 호주, 노르웨이, 독일 등도 한국과 비슷하게 출국 권고 또는 철수권고를 하고 있고 미국과 영국의 경우는 대사관 비필수 인력 등의 철수 명령을 한 상태다.
정부는 3일 경보 단계 상향 조정과 함께 기본 외교부 2차관이 본부장으로 있던 재외국민보호대책본부를 외교부 장관이 본부장인 중앙대책본부를 구성해 사태 악화에 대응해나갈 방침이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