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창일 전 의원이 8일 주일본대사로 임명됐다. 한겨레 자료 사진
강창일(69) 전 국회의원이 주일본대사에 공식 임명됐다고 외교부가 8일 밝혔다. 지난해 11월 내정 발표 뒤 두 달여 만이다. 마침 그가 임명장을 받은이날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 대해 한국 법원이 일본 정부의 배상 책임을 인정한 날이다.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판결에 이어 ‘위안부’ 피해자 배상문제까지 겹치면서 신임 일본대사로서 그가 갈 길은 더욱 좁고 험해졌다.
강 신임 대사는 이날 위안부 판결에 대해 “한-일간 누적된 역사갈등에 갈등 요인이 하나 더 추가된 것이어서 어깨가 더 무거워졌다”며 “한-일관계는 이미 더 나빠질 수 없을 만큼 최악인 상황이어서 앞으로는 나아질 일만 남았다는 생각으로 한-일관계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14일 청와대에서 임명장을 받고 22일께 일본으로 출국할 예정이다.
제주 출신인 강 대사는 17~20대 국회의원을 지낸 4선 의원 출신으로 한-일의원연맹 회장을 역임했다. 지난해 4월 21대 총선엔 출마하지 않았다. 강 대사는 주일본대사 내정 발표 뒤
과거 강경 발언이 주목받으면서 일본 정부의 아그레망을 받는 데 문제가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됐으나, 최근 아그레망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그레망은 외교사절에 대해 해당 국가의 동의를 구하는 절차를 말한다.
일본 언론들은 강 대사가 2011년 5월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는 러시아의 남쿠릴열도를 방문해 “쿠릴열도는 러시아 영토”라고 말하고, 지난 2019년 10월엔 정부의 공식 호칭이 일왕이 아니라 천황인 것과 관련해 “한국에선 일왕이라고 하자”고 하는 등 대일 강경발언을 한 전력이 있다는 점을 조명했다.
이에 강 대사는 지난해 12월 일본 언론을 만나 쿠릴열도에 대해 “러시아에 빼앗겨 점유당했다는 취지로 말했는데 잘 전달되지 않았다”고 해명하고, 일왕 호칭에 대해선 ”대사로 부임하면 천황이라고 부르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외교부는 또 홍석인 주미국공사를 주호놀루루 총영사로 임명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