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국·일본·호주·브라질·인도·이스라엘 7개국 외교장관 화상회의 모습. 외교부 제공
한국, 미국, 일본 등 7개국 외교 장관들이 11일(현지 시각) 화상회의를 열고 코로나19 대응 국제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외교부는 한국·미국·일본·호주·브라질·인도·이스라엘 7개국 외교장관이 한국시간 이날 오후 8시부터 약 70분 동안 다자간 화상회의를 열었다고 12일 밝혔다.
회의는 제안국인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주재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모테기 토시미쓰 일본 외무상 등이 참석해 진행됐다. 모건 오테이거스 국무부 대변인은 보도자료를 내고
“폼페이오 장관 등은 코로나19에 맞서고 원인을 다루는 데 있어 국제협력, 투명성, 책임의 중요성을 논의했다”며 “또 향후 국제적 보건 위기를 막고 규범에 기초한 국제질서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기 위한 공조 방안도 논의했다”고 설명했다. 미 국무부가 보도자료에서 투명성과 코로나19의 원인을 거론한 것은 다분히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폼페이오 장관은 기자회견과 인터뷰를 통해 중국이 코로나19 확산 초기에 국제사회에 관련 정보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았다고 앞장서 비판해왔다.
우리 외교부도 보도자료를 내어 강경화 장관이 회의에서 코로나19 관련한 신속하고 투명한 정보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이어 의료용품의 해외 지원 및 수출, 방역 경험 공유 등을 통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또 경제 재활성화를 위해 기업인의 필수적 이동을 포함한 국가 간 인적 교류 재개, 세계 시장의 개방성 유지, 백신·치료제 개발 및 보급 등이 필요하다고 말하며 이를 위한 국제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소연 기자
dand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