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0일 밤 청와대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취임 뒤 처음으로 전화통화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트럼프와 ‘북핵’ 통화
애초 9월 계획서 급선회 가능성
사드·북핵 등 청사진 마련 시급
애초 9월 계획서 급선회 가능성
사드·북핵 등 청사진 마련 시급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미 정상회담을 조기에 개최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당장 정상회담이 언제, 어떤 내용으로 열리게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 조기 개최는 지난 10일 밤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전화 통화를 통해 가시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공식 초청에 문 대통령은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워싱턴을 방문해 허심탄회하게 의견을 교환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화답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도 조기 한·미 정상회담을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두 정상의 전화 통화 내용을 사실상 ‘지침’으로 보고, 미국 쪽과 정상회담 일정 조율 등 본격적 협의 준비에 들어갔다. 외교부 당국자는 11일 “두 정상이 조기 개최를 언급했으니 이제 그에 맞춰 준비해야하지 않겠느냐”며 “5월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6월 중 개최로 보면 되지 않겠냐”고 말했다.
외교부 북미국에서는 새 대통령이 취임하면 가급적 빠른 시일 내에 한·미 정상회담을 여는 쪽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이었다. 반면 ‘승부사’ 기질이 있는 트럼프 대통령을 상대하기 위해선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와 방위비분담금, 자유무역협정 문제를 비롯해 북한과 북핵 문제까지 아우르는 문재인 정부의 외교 청사진을 마련하는 게 먼저라는 신중론도 대두됐다.
앞서 문 대통령 선거 캠프에선 여러 상황을 고려해 9월께 정상회담을 하는 방향을 검토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문 캠프 쪽 김기정 연세대 행정대학원장은 11일 <한겨레>에 “정상회담을 할 때 미국이 제일 먼저여야 한다는 데 이론의 여지가 없었다”면서 “시기는 9월쯤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오는 7월7일~8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첫 대면 접촉을 하고, 문 대통령이 9월 유엔 총회를 전후로 워싱턴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됐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한반도 위기설이 나오고, (사드 비용) 1조를 내라고 하니까 상황이 급박해졌고, (기업인 출신인) 트럼프 대통령은 일을 빨리 해결하려는 스타일”이라며 “6월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역대 정부들 가운데 한·미 정상회담을 가장 서두른 것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다. 그는 취임 뒤 한 달 반 만인 2008년 4월에 미국행 비행기를 탔다. 노무현 전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2달 반 만인 2003년 5월과 2013년 5월에 각각 방미해 미 대통령과 조우했다.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이슈문재인 정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