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외교

논란 속 등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은 무엇?

등록 2021-07-12 16:28수정 2021-07-12 17:02

일본 우익의 정념이 녹아 있는 ‘메이지 일본 산업혁명 유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하시마(군함도)의 전경. <한겨레> 자료사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하시마(군함도)의 전경. <한겨레> 자료사진

한-일 간에 외교적 다툼이 진행 중인 ‘메이지 일본 산업혁명 유산’이란 메이지 혁명이 발생한 1860년대 말부터 1910년까지 일본이 일으킨 초고속 산업혁명의 실태를 보여주는 미쓰비시 나가사키 조선소 등 일본 8개 현에 흩어진 23개 시설을 뜻한다.

이 시설이 양국 간 민감한 외교 문제로 부상한 것은 2014년 1월 일본 정부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시도하면서부터다. 특히 문제가 된 것은 작가 한수산의 <까마귀>(2003) 등의 작품으로 한국에도 잘 알려진 나가사키현의 하시마(군함도)가 23개 시설에 포함됐다는 사실이 전해지면서부터다. ‘대일항쟁기 강제동원 피해 조사 및 국외 강제동원 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의 2012년 보고서에 따르면 1944년 현재 이 섬 지하에 조성된 해저탄광에서 조선인 노동자 500~800명이 강제노동을 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일본 시민단체가 발굴한 ‘화장인허가장’은 1925~1945년 섬에서 숨진 조선인이 최소 122명 이상이라는 사실을 확인시켰다.

한국에선 당연히 조선인의 뼈아픈 강제동원의 역사가 묻어 있는 하시마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해선 안 된다는 반대 여론이 일어났다. 결국, 한-일 양국 간의 피 말리는 외교 협상 끝에 일본 정부가 이들 시설에서 조선인들에 대한 강제노동이 이뤄졌다는 사실을 인정하면, 한국이 등재에 반대하지 않겠다는 타협이 이뤄졌다. 아우슈비츠 수용소(1979년 등재)처럼 부정적인 유산도 세계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는 설득이 받아들여진 것이다. 이에 따라 2015년 7월5일 독일 본에서 열린 제39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사토 구니 주유네스코 일본 대사는 군함도 등 일부 산업시설에서 “1940년대 한국인 등이 ‘자기 의사에 반해’(against their will) 동원되어 ‘강제로 노역’(forced to work)했던 일이 있었다.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인포메이션센터 설치 등의 조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하지만 2020년 6월 실제 도쿄의 인포메이션센터가 공개된 뒤 일본 정부가 이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는 사실이 확인되며, 이 문제가 양국 간 외교 현안으로 다시 부상했다.

당시엔 큰 논란이 되지 않았지만, 일본의 사상가 요시다 쇼인(1830~1859)의 서당인 쇼카손주쿠가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문제 제기가 이어져 왔다. 쇼카손주쿠는 메이지 혁명의 주역이 되는 이들이 태어난 야마구치현 하기시에 있는 서당으로 산업 유산으로 부를 수 없는데도 유산으로 등재됐기 때문이다. 이 서당에서 쇼인의 가르침을 받은 이토 히로부미, 야마가타 아리토모, 데라우치 마사다케 등은 이후 조선 등 아시아 침략을 주도하게 된다. ‘메이지 일본 산업혁명 유산’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는 과정에서 메이지 유신과 같은 ‘일본의 영광’을 재현하고 싶다는 아베 신조 전 총리 등 일본 우익들의 의향이 크게 작용했던 셈이다.

길윤형 기자 charism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