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통일부 “남북연락사무소 직통선 불통, 서해군통신선은 정상”

등록 2022-10-04 11:34수정 2022-10-04 12:05

당국자 “폭우로 선로 장애 발생 추정”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 설치된 직통전화. 통일부 제공.
남북 공동연락사무소에 설치된 직통전화. 통일부 제공.

남북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한 남북간 직통선 개시 통화가 4일 이뤄지지 않았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오전 기자들과 만나 “오늘 아침 9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간 업무 개시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 다만 서해 군통신선은 정상적으로 개시 통화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남과 북은 최근 관계 악화에도 날마다 오전 9시엔 업무 개시, 오후 5시엔 업무 종료 통화를 해왔다. 그런데 이날 오전 통일부가 관리하는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직통선이 불통됐다는 것이다. 반면, 군 당국이 관리하는 군통신선은 정상 통화가 이뤄졌다.

통일부 당국자는 “오늘 아침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통화가 이뤄지지 않은 게 통신선 이상 등 기술적 문제에 의한 것인지 등은 현재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북쪽이 일부러 개시 통화에 응하지 않았는지, 아니면 선로 이상 등 단순 기술적 문제 때문인지 아직 단정하기 이르다는 뜻이다. 앞서 지난 6월28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사이 오전 개시 통화가 이뤄지지 않았다가 오후 업무 종료 통화는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당시 통일부 당국자는 “(북쪽이 일부러 직통선 연락에 불응한다기보다는) 북쪽 지역에 쏟아진 (장마철) 폭우로 통신선로 장애 등 기술적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한다. 전에도 폭우 때 간혹 이런 경우가 있었다”고 말했다.

다만 이날 오전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사이 직통선 불통이 정치적 문제 때문이라면, 불통 상황이 길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은 최근 한미연합군사연습에 대응해 탄도미사일을 수 차례 발사했고 이날 오전엔 일본 상공을 통과하는 미사실을 쐈다. 2020년 6월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건물 폭파로 이어진 ‘대북전단 사태’ 때에는 2020년 6월9일부터 2021년 7월26일까지 413일간 직통선이 끊겼다. 지난해에도 한미연합군사연습 등을 이유로 8월10일부터 10월3일까지 55일간 끊겼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윤석열·전광훈이 이끄는 극우 정당, 국힘 하기에 달렸다 1.

윤석열·전광훈이 이끄는 극우 정당, 국힘 하기에 달렸다

민주 “국힘, 탄핵 불복 빌드업 즉각 중단하라” 2.

민주 “국힘, 탄핵 불복 빌드업 즉각 중단하라”

윤석열 지지자들, 구치소 앞 ‘떡국 세배’…이준석 “제사상 같아” 3.

윤석열 지지자들, 구치소 앞 ‘떡국 세배’…이준석 “제사상 같아”

이재명 “경호처장 공관, 해병대 사령관 공관으로 복원해야” 4.

이재명 “경호처장 공관, 해병대 사령관 공관으로 복원해야”

권영세·권성동·나경원 3일 윤석열 면회…“개인적 차원” 5.

권영세·권성동·나경원 3일 윤석열 면회…“개인적 차원”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