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20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총파업에 들어간 것에 대해 방역 상황과 관련지어 안타깝다는 반응을 내놨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방역상황이 비교적 안정적 국면에 접어들고 있고 온 국민이 11월 일상회복을 준비하는 시점을 감안해, 민주노총이 대승적 차원에서 파업을 자제하길 바랬지만 안타까운 결과가 되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집회의 자유 보장’에 대한 청와대 입장을 묻는 질문에 “집회의 자유는 당연히 보장되어야 하지만 전대미문의 코로나19로 인해 전 국민이 방역에 동참하는 상황, 단계적 일상 회복의 중대 기로에 있는 점을 감안해서 자제를 요청한 것”이라고 답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5인 미만 사업장 차별·비정규직 철폐 △돌봄·의료·교육·주택·교통 공공성 쟁취 △산업 전환기 일자리 국가책임제 쟁취 등을 내세워 총파업에 돌입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8일 김부겸 국무총리와 주례회동을 한 자리에서 “민주노총이 대승적 차원에서 최대한 파업을 자제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한 바 있다. 경찰은 20일 서울광장 프라자호텔 인근부터 광화문 광장 주변까지 경찰버스로 ‘차벽’을 치고 집회 참가자들의 접근을 막았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전두환 두둔’ 발언을 한 것과 관련해 “특정 후보의 발언에 대해서 청와대가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도 “다만 전두환 전 대통령 관련해서는 역사적, 사법적 판단이 이미 끝난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