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류세’ 이어 이번엔 ‘4조 2교대제’ 논쟁
문국현 대선 예비후보를 겨냥한 민주노동당의 견제가 거세지고 있다.
최근 유류세 인하 논쟁에 이어, 이번엔 문 후보의 비정규직 해법인 ‘4조 2교대제’(작업조를 4개로 나눠 각각 나흘씩 ‘12시간 주간근무-교육-12시간 야간근무-휴식’을 반복하는 모델)가 공격 대상이 됐다. 민주노동당 공동 선대위원장인 심상정 의원은 지난 26일 “이 모델은 유한킴벌리처럼 기계를 24시간 가동할 수 있는 기업, 독점적 지위를 가진 중견기업, 야간근무가 필수적인 기업에서만 가능하다”고 비판했다. 해당 기업이 800곳 미만으로 전체 기업의 1~2%밖에 안 되며, 전체 기업의 88.6%를 차지하는 9인 이하 기업은 영세성 때문에 노동시간 단축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이에 문 후보 쪽 송태수 정책팀장은 “4조 2교대제는 한 예에 불과하며, 상황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모범 사례를 통해 가능성을 보고,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차원에서 이해해야 된다”고 맞받았다. 문 후보 쪽은 또 심 의원의 비판을 “정치 공세”라고 반박했다.
민주노동당의 잇따른 문 후보 비판엔, 최근 지속적으로 문 후보에게 지지기반을 잠식당하고 있다는 위기감이 깔려 있다는 게 당 안팎의 일반적 분석이다. 문 후보 공약의 ‘허점’을 비판함으로써, 문 후보의 색깔을 분명히해 민주노동당 지지층의 이탈을 막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 전직 당직자는 “문 후보는 어쨌든 유한킴벌리를 통해 비정규직 해결의 ‘성과’를 보여줬다. 민주노동당의 비판은 자칫 역효과를 부를 수 있다”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