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문국현 잘 몰라” 사실상 정동영 지지
차별화 통한 선명성 부각 차질올까 부담
문국현 후보쪽 “거리두기 해와 영향없어” 지난 25일 노무현 대통령이 문국현 예비후보에 대해 분명한 ‘거리감’을 나타낸 뒤, 청와대 쪽의 의견 표명이 범여권의 대선 구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쏠린다. 청와대 쪽은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통합신당) 대통령후보에 대한 지지 표명은 아니라며 확대해석에 선을 그었지만, 정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는 효과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전날 홍보수석실의 견해 표명에 대해 “열린우리당의 맥을 잇고 있고 정부와 정책적 공감대가 큰 통합신당에서 정당한 절차를 거쳐 뽑힌 후보를 인정하고 지지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정치적 원칙을 얘기한 것이다. (정 후보 지지 표명으로) 단순화해 해석하지 말라”고 말했다. 청와대 홍보수석실은 전날 인터넷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은 문국현 후보에 대해 잘 모르고 어떤 입장을 가질 만큼 검증을 거친 분도 아니다”라며 정치권의 범여권 후보 단일화론을 비판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 후보가 참여정부 무능론에 편승해 열린우리당을 깬 것에 대해 ‘결자해지 차원에서 풀어야 한다’는 대통령의 인식엔 여전히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 대통령의 언급은 그동안 제기돼 온 ‘노무현-문국현 연대설’을 부인하고 정 후보의 ‘적통’을 인정함으로써 정 후보에 대한 지지 표명으로 해석될 여지가 적지 않다. 정 후보 쪽은 언급을 삼가면서도 계속 노 대통령과의 정치적 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정 후보는 이날 광주시당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0년간의 민주세력 가치와 정책을 견지하는 가운데, 소통을 통해 국민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두 사람의 관계 회복을 위해선 원칙과 가치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선행돼야 한다는 노 대통령의 주문에 에둘러 화답한 셈이다. 정 후보로서는 노 대통령의 이번 발언으로 친노 세력이 문 후보 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속내는 복잡한 것 같다. 노 대통령과의 관계 회복이 부각될 경우 ‘참여정부 황태자’란 이미지가 더욱 굳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에서 노 대통령과 ‘다르다’는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밖에 없다는 처지도 부담이다. 이라크 자이툰부대 주둔 연장에 반대한 것처럼, 지지층을 모으려면 정책 선명성을 부각시켜야 하는데, 노 대통령과의 정치적 관계 회복과 정책 차별화를 동시에 꾀하는 모습이 ‘정체성 혼란’으로 비칠 수 있다. 정 후보의 핵심 측근은 “노 대통령과의 관계가 자꾸 언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국현 후보 쪽은 노 대통령이나 참여정부를 비롯한 범여권과 ‘거리두기’를 계속해온 만큼 그 발언에 영향을 받을 게 없다고 보고 있다. 문 후보 캠프의 김헌태 정무특보는 “결과적으로 무해무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의 지지층에 옛 노무현 지지층이 섞여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은 이미 ‘노무현의 세력권’에서 벗어난 사람들이기 때문에 지지율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문 후보가 지지율 상승에 가속도를 내려면 친노 세력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적잖은 손실이 있을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지은 강희철 기자 jieuny@hani.co.kr
문국현 후보쪽 “거리두기 해와 영향없어” 지난 25일 노무현 대통령이 문국현 예비후보에 대해 분명한 ‘거리감’을 나타낸 뒤, 청와대 쪽의 의견 표명이 범여권의 대선 구도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관심이 쏠린다. 청와대 쪽은 정동영 대통합민주신당(통합신당) 대통령후보에 대한 지지 표명은 아니라며 확대해석에 선을 그었지만, 정 후보에게 힘을 실어주는 효과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전날 홍보수석실의 견해 표명에 대해 “열린우리당의 맥을 잇고 있고 정부와 정책적 공감대가 큰 통합신당에서 정당한 절차를 거쳐 뽑힌 후보를 인정하고 지지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정치적 원칙을 얘기한 것이다. (정 후보 지지 표명으로) 단순화해 해석하지 말라”고 말했다. 청와대 홍보수석실은 전날 인터넷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은 문국현 후보에 대해 잘 모르고 어떤 입장을 가질 만큼 검증을 거친 분도 아니다”라며 정치권의 범여권 후보 단일화론을 비판했다. 이름을 밝히지 말 것을 요청한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정 후보가 참여정부 무능론에 편승해 열린우리당을 깬 것에 대해 ‘결자해지 차원에서 풀어야 한다’는 대통령의 인식엔 여전히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노 대통령의 언급은 그동안 제기돼 온 ‘노무현-문국현 연대설’을 부인하고 정 후보의 ‘적통’을 인정함으로써 정 후보에 대한 지지 표명으로 해석될 여지가 적지 않다. 정 후보 쪽은 언급을 삼가면서도 계속 노 대통령과의 정치적 관계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정 후보는 이날 광주시당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10년간의 민주세력 가치와 정책을 견지하는 가운데, 소통을 통해 국민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두 사람의 관계 회복을 위해선 원칙과 가치에 대한 공감대 형성이 선행돼야 한다는 노 대통령의 주문에 에둘러 화답한 셈이다. 정 후보로서는 노 대통령의 이번 발언으로 친노 세력이 문 후보 쪽으로 쏠리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속내는 복잡한 것 같다. 노 대통령과의 관계 회복이 부각될 경우 ‘참여정부 황태자’란 이미지가 더욱 굳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책에서 노 대통령과 ‘다르다’는 이미지를 부각시킬 수밖에 없다는 처지도 부담이다. 이라크 자이툰부대 주둔 연장에 반대한 것처럼, 지지층을 모으려면 정책 선명성을 부각시켜야 하는데, 노 대통령과의 정치적 관계 회복과 정책 차별화를 동시에 꾀하는 모습이 ‘정체성 혼란’으로 비칠 수 있다. 정 후보의 핵심 측근은 “노 대통령과의 관계가 자꾸 언급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문국현 후보 쪽은 노 대통령이나 참여정부를 비롯한 범여권과 ‘거리두기’를 계속해온 만큼 그 발언에 영향을 받을 게 없다고 보고 있다. 문 후보 캠프의 김헌태 정무특보는 “결과적으로 무해무득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후보의 지지층에 옛 노무현 지지층이 섞여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들은 이미 ‘노무현의 세력권’에서 벗어난 사람들이기 때문에 지지율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문 후보가 지지율 상승에 가속도를 내려면 친노 세력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적잖은 손실이 있을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지은 강희철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