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주 대통합민주신당 의원이 19일 오후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동 한국개발연구원에서 열린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경부운하의 생태계 훼손 가능성’에 대해 정회성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장에게 질의하고 있다. 김태형 기자 xogud555@hani.co.kr
국감현장
통합신당 “나라 패망” 공세
한나라 “치수 대책” 맞붙어 19일 국회 정무위·행자위 등의 국정감사에선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의 운하 공약을 놓고 거친 공방이 벌어졌다. 대통합민주신당 의원들은 운하의 타당성 문제를 놓고 총공세를 펼쳤고, 한나라당 의원들은 운하가 치수 대책이라고 맞섰다. 통합신당의 이원영 의원은 이날 한국개발연구원에서 열린 정무위 국감에서, “서울~부산 화물 운송시간이 5시간인데, 이 후보가 수십조원을 투입해 50~70시간 걸리는 경부운하를 건설하겠다고 한다”며 “역사적으로 무모한 토목공사로 국력을 쇠잔하게 해 나라를 망하게 한 사례가 많다. 운하 건설은 나라를 패망시킬 엄청난 부담”이라고 주장했다. 서혜석 의원은 운하를 통해 일자리 30만개가 창출된다는 이 후보의 주장을 “독일에서도 수운의 역할이 축소되면서 종사자 수가 1964년 3만명, 1999년 7600명, 현재 3500명 수준으로 급감했다”고 반박했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국토연구원이 만든 ‘경부운하 재검토 결과보고서’에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주장하며 맞섰다. 김양수 의원은 “건교부가 2005년 말 수자원공사에 공문을 보내 1998년 있었던 경부운하 검토 결과를 현 시점에서 재검토·보완하라는 지시를 했다”며 “야당 유력 후보의 공약성 발언을 검증하기 위해 행정부처인 건교부가 7년 전 용역을 자발적으로 재검토했다는 것은 억지이며, 청와대의 입김 없이는 움직이기 어렵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애실 의원은 “건교부의 경인운하 보고서는 연구원 28명이 1년7개월 동안 연구한 반면, 국토연구원의 경부운하 재검토 보고서는 연구원 4명이 불과 5개월만에 작성했다”며 정치적 의도를 공격했다. 행자위 소방방재청 국감에도 운하가 등장했다.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은 “한국은 물 부족 국가라기보다는 ‘물 그릇’ 부족 국가다. 치수관리를 위해서도 대운하는 꼭 필요하다”며 “운하에 대해 많은 오해들이 빚어지고 있는데 수해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대운하를 생각해보라”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한나라 “치수 대책” 맞붙어 19일 국회 정무위·행자위 등의 국정감사에선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의 운하 공약을 놓고 거친 공방이 벌어졌다. 대통합민주신당 의원들은 운하의 타당성 문제를 놓고 총공세를 펼쳤고, 한나라당 의원들은 운하가 치수 대책이라고 맞섰다. 통합신당의 이원영 의원은 이날 한국개발연구원에서 열린 정무위 국감에서, “서울~부산 화물 운송시간이 5시간인데, 이 후보가 수십조원을 투입해 50~70시간 걸리는 경부운하를 건설하겠다고 한다”며 “역사적으로 무모한 토목공사로 국력을 쇠잔하게 해 나라를 망하게 한 사례가 많다. 운하 건설은 나라를 패망시킬 엄청난 부담”이라고 주장했다. 서혜석 의원은 운하를 통해 일자리 30만개가 창출된다는 이 후보의 주장을 “독일에서도 수운의 역할이 축소되면서 종사자 수가 1964년 3만명, 1999년 7600명, 현재 3500명 수준으로 급감했다”고 반박했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국토연구원이 만든 ‘경부운하 재검토 결과보고서’에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주장하며 맞섰다. 김양수 의원은 “건교부가 2005년 말 수자원공사에 공문을 보내 1998년 있었던 경부운하 검토 결과를 현 시점에서 재검토·보완하라는 지시를 했다”며 “야당 유력 후보의 공약성 발언을 검증하기 위해 행정부처인 건교부가 7년 전 용역을 자발적으로 재검토했다는 것은 억지이며, 청와대의 입김 없이는 움직이기 어렵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애실 의원은 “건교부의 경인운하 보고서는 연구원 28명이 1년7개월 동안 연구한 반면, 국토연구원의 경부운하 재검토 보고서는 연구원 4명이 불과 5개월만에 작성했다”며 정치적 의도를 공격했다. 행자위 소방방재청 국감에도 운하가 등장했다. 정두언 한나라당 의원은 “한국은 물 부족 국가라기보다는 ‘물 그릇’ 부족 국가다. 치수관리를 위해서도 대운하는 꼭 필요하다”며 “운하에 대해 많은 오해들이 빚어지고 있는데 수해문제에 대한 대책으로 대운하를 생각해보라”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