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이 ‘원샷 경선’ 제안
선거인단 경기·인천과 맞먹어…정후보 압승 유력
경선 예정대로 강행땐 역전 쉽잖아 승부수 던져 대통합민주신당의 국민경선 일정이 동원 논란으로 잠정 중단된 가운데, 이해찬 후보 쪽이 내놓은 ‘원샷 경선’ 안이 문제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손학규 후보 쪽은 ‘원샷 경선’에 동조하고 나섰지만, 정 후보 쪽은 “어떠한 일정 변경도 있을 수 없다”며 ‘수용 불가’를 밝히고 있다. ‘원샷 경선’을 놓고 손학규·이해찬 후보 대 정동영 후보 간에 전선이 형성된 것이다. 종합 1위를 달리고 있는 정동영 후보 쪽은 자신의 텃밭인 전북지역 경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둬, ‘동원 논란’ 등을 잠재우려는 태세이다. 주말인 10월6~7일 경선은 정 후보의 텃밭인 전북, 손 후보의 연고지인 경기·인천, 이해찬 후보의 고향인 대전·충남에서 동시에 열린다. 하지만 선거인단 규모와 표의 결집도 등을 고려하면, 정 후보로서는 다른 후보들을 멀찌감치 따돌릴 수 있는 기회다. 반대로 다른 후보들은 현재의 방식대로 전북 경선을 치를 경우 만회할 기회를 영영 놓치게 된다. 전북 경선이 ‘원샷 경선’ 방안의 핵심인 셈이다. 이처럼 모든 후보가 전북 경선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합의된 경선규칙에 지역별 편차 보정이 빠졌기 때문이다. 애초 경선규칙에는 각 지역별 인구비례로 표를 환산하자는 보정안이 있었으나, 후보 대리인들 간의 논의 과정에서 이 방안은 백지화됐다. 그 결과, 전북에는 전국 유권자의 4%가 살고 있지만, 국민경선 선거인단 비율은 14.3%에 이르렀다. 전북보다 인구가 훨씬 많은 경기·인천(15.1%), 부산·경남 선거인단(14.4%)과 맞먹는 수치다. 전북 지역이 실제 유권자 비례보다 ‘과대 대표’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그동안 당 안팎에서는 지난 8월 말 합의된 경선규칙에 지역별 편차 보정안이 빠지면서, 전북이라는 확실한 텃밭을 갖고 있는 정 후보 쪽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돼왔다. 경선규칙 합의를 중재했던 이목희 의원은 “편차 보정이 없으면 손학규·이해찬 후보에게 불리했지만, 큰 이의제기 없이 쉽게 합의했다”며 “완전 개방형이라는 국민경선제의 원칙상 보정이 필요없다는 명분을 두 후보 쪽이 수용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경선 예정대로 강행땐 역전 쉽잖아 승부수 던져 대통합민주신당의 국민경선 일정이 동원 논란으로 잠정 중단된 가운데, 이해찬 후보 쪽이 내놓은 ‘원샷 경선’ 안이 문제해결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손학규 후보 쪽은 ‘원샷 경선’에 동조하고 나섰지만, 정 후보 쪽은 “어떠한 일정 변경도 있을 수 없다”며 ‘수용 불가’를 밝히고 있다. ‘원샷 경선’을 놓고 손학규·이해찬 후보 대 정동영 후보 간에 전선이 형성된 것이다. 종합 1위를 달리고 있는 정동영 후보 쪽은 자신의 텃밭인 전북지역 경선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둬, ‘동원 논란’ 등을 잠재우려는 태세이다. 주말인 10월6~7일 경선은 정 후보의 텃밭인 전북, 손 후보의 연고지인 경기·인천, 이해찬 후보의 고향인 대전·충남에서 동시에 열린다. 하지만 선거인단 규모와 표의 결집도 등을 고려하면, 정 후보로서는 다른 후보들을 멀찌감치 따돌릴 수 있는 기회다. 반대로 다른 후보들은 현재의 방식대로 전북 경선을 치를 경우 만회할 기회를 영영 놓치게 된다. 전북 경선이 ‘원샷 경선’ 방안의 핵심인 셈이다. 이처럼 모든 후보가 전북 경선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합의된 경선규칙에 지역별 편차 보정이 빠졌기 때문이다. 애초 경선규칙에는 각 지역별 인구비례로 표를 환산하자는 보정안이 있었으나, 후보 대리인들 간의 논의 과정에서 이 방안은 백지화됐다. 그 결과, 전북에는 전국 유권자의 4%가 살고 있지만, 국민경선 선거인단 비율은 14.3%에 이르렀다. 전북보다 인구가 훨씬 많은 경기·인천(15.1%), 부산·경남 선거인단(14.4%)과 맞먹는 수치다. 전북 지역이 실제 유권자 비례보다 ‘과대 대표’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그동안 당 안팎에서는 지난 8월 말 합의된 경선규칙에 지역별 편차 보정안이 빠지면서, 전북이라는 확실한 텃밭을 갖고 있는 정 후보 쪽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관측이 제기돼왔다. 경선규칙 합의를 중재했던 이목희 의원은 “편차 보정이 없으면 손학규·이해찬 후보에게 불리했지만, 큰 이의제기 없이 쉽게 합의했다”며 “완전 개방형이라는 국민경선제의 원칙상 보정이 필요없다는 명분을 두 후보 쪽이 수용한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