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선경쟁력 내세워 표심 호소
부산·경남 경선을 이틀 앞둔 28일 부산에서 열린 대통합민주신당(통합신당) 합동유세와 텔레비전 토론에서 정동영·손학규·이해찬 세 경선후보는 전날 비방전의 반작용인 듯 서로에 대한 공격 수위를 조절했다. 부산이 노무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점을 의식해 참여정부에 대한 비판도 교묘히 피했다.
정동영 후보는 조직동원설, 당권거래설 등으로 공격이 집중되는 구도를 바꾸려 노력했다. 정 후보는 “막강한 이명박 후보를 이기기 위해서는 우리 세 후보가 모두 손을 잡아야 한다. 상대방 얼굴에 생채기를 내면 본선에서 어떻게 대결할 것이냐”며 “품격 있게 토론하자”고 말했다.
손학규 후보는 “한나라당 검증청문회에서 이명박 후보의 모든 의혹이 규명됐다고 발표했다고 해서 이 후보의 의혹이 사라지는 것이냐. 당 공정경선특위에서 ‘조직동원이 없었다’고 발표했다고 그런 의혹이 가려지는 것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해찬 후보는 당권거래설과 관련해 “저에게도 한 의원이 찾아와 ‘의원 1인당 1만표를 모아서 당권과 거래하자는 식의 논의가 이뤄지는 것을 보고 정치를 함께 하지 않기로 했다’고 말했다”며 “이런 식의 구태정치에 손 후보가 화난 것도 이해한다”고 거들었다.
참여정부 평가에 대해 이 후보는 “정책은 잘했지만 정치는 못했다는 말을 들었다. 국민과 소통이 안 돼서 정치가 잘못됐다는 소리를 들은 것 같다”고 진단했다. 이 후보는 그러나 “노 대통령이 인기가 없을 때는 비난하고 대립각 세우다가, 정상회담 잘 되니까 거기에 기여한 것처럼 이야기하는 것은 국민들이 좋지 않게 본다”고 정 후보를 공격했다. 손 후보는 “열린우리당이 문닫은 것은 ‘성장이냐 분배냐’, ‘삼불정책을 고수하냐 마냐’는 이념지향적인 논쟁 때문이었다”고 정 후보를 협공했다.
정 후보는 직접 대응을 피하며 “저는 두 달 전 출마선언 할 때 지역과 계층, 세대를 통합할 통합의 정부를 만들겠다고 했는데, 지금도 편가르고 낙인찍고 내부에서 저를 적이라고 규정하는 일들이 계속되고 있다”고 항변했다.
부산/이태희 기자 hermes@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