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한나라당 대선 후보는 다음 주중 선거대책위원회를 발족해 본격적인 대선 채비에 나설 예정이다. 임태희 후보 비서실장은 26일 “중앙 선대위는 전략·홍보·기획 등 실무 중심으로, 지방 선대위는 현장 득표 활동 중심으로 꾸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앙 선대위는 후보 비서실·대변인단·유세단·특보단과 전략·홍보·기획 본부, ‘경제살리기특위’ ‘국민통합특위’ ‘일류국가비전위’로 구성된다. 경제살리기특위는 경제 관련 정책 아이디어를 수렴해 당 정책위원회로 전달하며, 국민통합특위는 이 후보가 구상 중인 시민단체·기존 정치권 등으로의 외연 확대를 맡는다. 일류국가비전위는 이달 초 출범한 공약·집권비전 담당 기구다. 중앙 선대위에 중진 의원 대부분이 포진했던 과거과 달리, 최소한의 현역 의원과 실무진만 배치될 예정이다.
16개 시·도별로 꾸려질 지방 선대위는 ‘표가 있는 곳에서 발로 뛰라’는 이 후보의 의중이 실렸다. 지방 선대위는 조직본부장 관할이던 예전과 달리 후보 직할로 바뀌었다. 이 후보가 직접 ‘표 단속’에 나설 뜻을 분명히한 셈이다. 선대위원장·본부장은 해당 시·도당 위원장과 중진의원, 지역 명망가 등이 맡을 예정이며, 구체적인 기구 구성은 지방 선대위원장에게 일임하기로 했다. 장애인·노인 등 각종 직능단체들도 지역에서 맡기로 했다.
선대위를 총괄할 공동선대위원장은 강재섭 대표와 외부 인사 남녀 각 1명씩 모두 3명이 맡기로 했다. 외부 인사로는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어윤대 전 고려대 총장, 이석연 변호사, 이경숙 숙명여대 총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표에겐 공동선대위원장직을 제안하지 않고,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 지원 유세를 요청하기로 했다.
앞서 이 후보는 연휴 동안 친형인 이상득 국회부의장, 최시중 전 캠프 고문, 정두언 팀장 등과 공동선대위원장 인선을 논의했으나, 물망에 오른 이들이 고사하거나 연락이 닿지 않아 최종 결정을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