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경선 여론조사 20% 반영·모바일 투표 도입 추진
대통합민주신당 최고위원회는 7일 대선후보 경선에서 여론조사를 20% 반영하고, 모바일 투표를 전면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그러나 최고위원회의 이런 방침에 대해 정동영·이해찬 후보 쪽이 강력 반발하고 나서, 경선 규칙을 둘러싼 후보 간 충돌이 격화할 조짐이다.
신당은 이날 정책토론회가 열린 광주에서 최고위-대선후보 연석회의를 열고, 최고위의 이런 의견을 대선후보들에게 전달했다고 이낙연 대변인이 밝혔다. 최고위는 모바일 투표의 경우 현장 투표에 참여하는 선거인단과 동등한 한 표로 인정해주고, 인터넷 투표는 기술적·시간적 제약 때문에 도입하지 않기로 의견을 모았다.
당 지도부가 이런 결정을 내린 것은 경선 규칙을 둘러싼 후보들의 충돌을 방치할 경우 본경선 흥행을 장담할 수 없는데다, 더는 경선 규칙 확정 시기를 늦출 수 없다는 판단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신당은 8일 각 후보 대리인을 참석시킨 가운데 경선규칙회의를 열어 여론 조사 반영 여부와 비율, 모바일 투표 도입 여부를 매듭짓겠다는 방침이나, 후보들의 이해관계가 크게 엇갈려 합의 여부는 불투명하다.
당장 정동영·이해찬 후보 쪽은 “손학규 후보를 위한 룰”이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정동영 후보 쪽의 김현미 대변인은 “경선 규칙에 대한 결정권이 없는 최고위가 일방적으로 안을 제시한 것은 월권으로, 후보들 간 합의되지 않은 규칙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배수진을 쳤다. 정청래 의원은 “당의 경선규칙이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움직인다는 의혹을 떨칠 수 없다”고 말했다.
이해찬 후보 쪽의 양승조 대변인도 “완전국민경선을 실시하는 데 여론조사를 반영하는 것 자체가 논리적 모순이고, 선거인단이 여론조사에도 참여하는 중복 투표 우려도 크다”며 “지도부가 특정 후보의 주장만을 따라 가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반면, 손학규 후보 쪽의 우상호 대변인은 “여론조사 반영 비율은 50%가 바람직하지만, 당에서 새로운 제안을 한 만큼 검토해 보겠다”고 말했다. 유시민·한명숙 후보 쪽은 국민경선위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