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경선 D-2] 경선 이후 갈등 골 메울까
겉으론 “결과 승복”…이·박 극한 대립 통합 쉽잖아
당내 인선·총선 공천권등 ‘승자 양보’가 최대 변수 한나라당 경선이 막판으로 치달으면서 이명박-박근혜 두 경선후보의 대립이 예사롭지 않게 전개되고 있다. 박 후보 쪽이 막판에 이 후보에 대해 ‘후보 사퇴론’을 제기하자, 이 후보 쪽은 “탈당하겠다는 것이냐”고 맞받아치는 등 경선이 혼돈 상태로 가고 있다. 당내에서는 ‘경선 이후’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시계 제로’ 상태에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 ‘후보 사퇴론’ 노림수 있나=두 후보 모두 입으로는 “경선 결과에 승복하고 당의 화합에 헌신하겠다”고 외치고 있다. 그러나 당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당직자는 “지금처럼 감정이 격앙된 상황에선 상당히 힘겨운 문제”라고 말했다. 경선 이후 두 사람 사이의 골을 메우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 후보 진영이 제기하는 ‘후보 사퇴론’ 또는 ‘후보 자격 정지’ 가능성 주장은 경선 이후 ‘복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박 후보 쪽의 홍사덕 선대위원장은 16일 기자회견에서 “본선이 진행 중이라도 후보 자격에 문제가 생기면 사실상 한나라당은 후보를 내지 못한 채 대선을 치르게 된다”고 말했다. 도곡동 땅 차명의혹을 받고 있는 이 후보가 설사 경선을 통과하더라도, 본선에서 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죄 등으로 후보 자격을 박탈당하거나, 정치적 타격으로 재기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일단 19일로 예정된 경선 투표를 앞두고 막판 역전을 위한 승부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박 후보 쪽이 만일 경선에서 패할 경우, 이 주장을 근거로 이 후보를 흔들어댈 가능성은 충분하다. 거꾸로 박 후보가 승리하는 경우를 상정하더라도 이 후보 쪽이 경선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들고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마치 지난 2002년 대선에서 민주당이 노무현 후보를 선출해 놓고도 ‘후보 교체론’으로 당 내부가 들끓었던 상황과 흡사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 총선 변수=현재 두 후보 진영에선 같은 지역구를 원하는 원·내외 당협위원장들이 두 쪽으로 나뉘어 포진하고 있다. 경선의 승패와 관계없이 총선을 앞두고 양 진영이 힘겨루기를 계속할 수밖에 없는 형국이다. 최악의 경우 패배한 쪽이 당내에서 승리한 후보의 자격 문제 등을 계속 제기하며 명분을 축적한 뒤 총선을 겨냥해 딴살림을 차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달리, 승리한 쪽에 결국 사람들이 몰릴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있다. 정치 현실로 볼 때 대선에서 승리하면 당선자가 사실상 공천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만큼 경선을 통과한 후보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화합 가능할까=16일 보도된 <중앙일보> 여론조사를 보면, 이명박·박근혜 두 지지층 모두 지지 후보가 패할 경우 상대방 후보를 본선에서 찍지 않을 거라고 응답한 이들이 50%가 넘는다. 두 사람이 손을 맞잡지 않으면 본선 경쟁력이 크게 낮아진다는 것이다. 두 사람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논리적 근거다. 이를 위해서는 경선에서 승리한 후보가 얼마나 포용력을 발휘하느냐가 관건이다. 당내 중립을 표방한 ‘중심모임’ 쪽 한 인사는 “본선 후보 수락 직후부터, 공천 제도를 혁신하거나 본인이 개입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힘으로써, 당협위원장들이 자기 자리에 대한 위협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당내 인선·총선 공천권등 ‘승자 양보’가 최대 변수 한나라당 경선이 막판으로 치달으면서 이명박-박근혜 두 경선후보의 대립이 예사롭지 않게 전개되고 있다. 박 후보 쪽이 막판에 이 후보에 대해 ‘후보 사퇴론’을 제기하자, 이 후보 쪽은 “탈당하겠다는 것이냐”고 맞받아치는 등 경선이 혼돈 상태로 가고 있다. 당내에서는 ‘경선 이후’가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시계 제로’ 상태에 빠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 ‘후보 사퇴론’ 노림수 있나=두 후보 모두 입으로는 “경선 결과에 승복하고 당의 화합에 헌신하겠다”고 외치고 있다. 그러나 당 내부 사정에 정통한 한 당직자는 “지금처럼 감정이 격앙된 상황에선 상당히 힘겨운 문제”라고 말했다. 경선 이후 두 사람 사이의 골을 메우기가 쉽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 후보 진영이 제기하는 ‘후보 사퇴론’ 또는 ‘후보 자격 정지’ 가능성 주장은 경선 이후 ‘복병’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박 후보 쪽의 홍사덕 선대위원장은 16일 기자회견에서 “본선이 진행 중이라도 후보 자격에 문제가 생기면 사실상 한나라당은 후보를 내지 못한 채 대선을 치르게 된다”고 말했다. 도곡동 땅 차명의혹을 받고 있는 이 후보가 설사 경선을 통과하더라도, 본선에서 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죄 등으로 후보 자격을 박탈당하거나, 정치적 타격으로 재기불능 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일단 19일로 예정된 경선 투표를 앞두고 막판 역전을 위한 승부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박 후보 쪽이 만일 경선에서 패할 경우, 이 주장을 근거로 이 후보를 흔들어댈 가능성은 충분하다. 거꾸로 박 후보가 승리하는 경우를 상정하더라도 이 후보 쪽이 경선 과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들고일어날 가능성이 많다. 마치 지난 2002년 대선에서 민주당이 노무현 후보를 선출해 놓고도 ‘후보 교체론’으로 당 내부가 들끓었던 상황과 흡사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 총선 변수=현재 두 후보 진영에선 같은 지역구를 원하는 원·내외 당협위원장들이 두 쪽으로 나뉘어 포진하고 있다. 경선의 승패와 관계없이 총선을 앞두고 양 진영이 힘겨루기를 계속할 수밖에 없는 형국이다. 최악의 경우 패배한 쪽이 당내에서 승리한 후보의 자격 문제 등을 계속 제기하며 명분을 축적한 뒤 총선을 겨냥해 딴살림을 차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달리, 승리한 쪽에 결국 사람들이 몰릴 수밖에 없다는 분석도 있다. 정치 현실로 볼 때 대선에서 승리하면 당선자가 사실상 공천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는 만큼 경선을 통과한 후보를 중심으로 움직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화합 가능할까=16일 보도된 <중앙일보> 여론조사를 보면, 이명박·박근혜 두 지지층 모두 지지 후보가 패할 경우 상대방 후보를 본선에서 찍지 않을 거라고 응답한 이들이 50%가 넘는다. 두 사람이 손을 맞잡지 않으면 본선 경쟁력이 크게 낮아진다는 것이다. 두 사람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논리적 근거다. 이를 위해서는 경선에서 승리한 후보가 얼마나 포용력을 발휘하느냐가 관건이다. 당내 중립을 표방한 ‘중심모임’ 쪽 한 인사는 “본선 후보 수락 직후부터, 공천 제도를 혁신하거나 본인이 개입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힘으로써, 당협위원장들이 자기 자리에 대한 위협감을 느끼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유주현 기자 edign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