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2일 개최될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위한 공개토론회’에 피해자쪽이 참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사진은 지난 9월1일 광주시의회 시민소통실에서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이 대법원에 의견서를 제출한 외교부의 사과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개최하고 있는 모습. 연합뉴스
오는 12일 국회에서 열리는 일제강점기 ‘강제징용(강제동원) 해법 논의 공개토론회’에 양금덕 할머니를 지원하는 피해자지원단체가 참석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과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소송 대리인단은 11일 규탄성명을 내어 “오는 12일 외교부와 한일의원연맹 회장 국민의힘 정진석 의원 주최로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열릴 예정인 ‘강제징용 해법 논의를 위한 공개토론회’와 관련해,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과 미쓰비시 근로정신대 소송 대리인단은 고심 끝에 이번 토론회에 ‘불참’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피해자 쪽에서는 정부의 강제동원 해법이 잘못됐다는 점을 알리기 위해 공개토론회에 참석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들은 토론회의 공동주최자가 한일의원연맹에서 정진석 의원으로 바뀐데다, 외교부에서 토론회 관련 내용을 공유해주지 않는 등 소극적으로 협조한 점을 고려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공동주최 쪽이 알려진 것과 달리 ‘한일의원연맹’이 아니라 외교부와 여당의 특정 의원(정진석 의원)과 치르는 형식으로 뒤바뀐 것은 그 일단에 불과하다”며 “더 놀라운 것은, 가장 중요한 당사자인 피해자 측이 이번 토론회와 관련한 기본적인 정보조차 제공받지 못한 채 철저히 무시돼 왔다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피해자 쪽은 지난 10일 토론회 발제문 등을 보내 줄 것을 외교부에 요청했지만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아무리 요식행위로 치른다고 하더라도 이런 비상식적인 토론회는 처음이다. 토론자에게 발제문조차 미리 제공할 수 없다면, 이런 토론회는 왜 하는 것인가”라며 “무엇이 보안이라는 것인지도 뜬금없지만, 보안이 문제가 된다면 공개토론회를 왜 하나”라고 비판했다.
피해자지원단체와 피해자 대리인 등은 10일 밤까지 회의를 열어 심야까지 참석 여부를 논의한 끝에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과 피해자 쪽 대리인인 임재성 변호사는 그대로 토론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
신형철 기자
newiro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