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윤호중 원내대표가 지난 15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사회복지특별위원회 발대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16일 “최근 확인한 바에 따르면 올해 초과세수액이 7월 정부가 예상했던 31조원보다 훨씬 많은 50조원 정도가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의도가 있었다면 국정조사라도 해야 할 그런 사안이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윤 원내대표는 이날 <와이티엔>(YTN) 라디오 ‘황보선의 출발 새아침’과 한 인터뷰에서 “이 부분(초과세수)에 대해서는 당연히 국민들로부터 거둬들인 것이기 때문에 국민께 돌려드림으로써 경제의 선순환을 일으키는 동력으로 활용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윤 원내대표는 “기재부가 지금까지 세수 추계를 철저하게 해왔다고 주장을 했지만 올해 이 결과를 놓고 보면 대단히 실망스럽다”며 “세수 총액의 10%가 넘는 15%에 가까운 정도를 틀리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예산당국에서 세금을 초과로 걷게 되는 것을 예상하지 못하고 충분한 세출 예산을 마련하지 못한 점, 또는 과도하게 국채 발행을 하게 된 점, 여러 가지 면에서 국민들에게 사과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윤 원내대표는 “7월에 예상했던 것보다 지금 19조원이 더 들어오는 것”이라며 “19조원을 활용해 3대 패키지와 그 외 방역에 필요한 예산을 충족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도 말했다. 3대 패키지는 전 국민 일상회복 지원금, 소상공인 손실보상, 지역화폐 발행 예산이다. 윤 원내대표는 “3대 패키지를 다 합치면 16∼17조원인데 여기에 대한 재원은 분명하다”고 했다.
일상회복 지원금과 관련해서는 윤 원내대표는 “어제(15일) 행안위에서 논의하며 1인당 20만원 수준으로, 그래서 예산액으로는 8조1천억원, 지방비 부담까지 합치면 10조3천억원으로 추산을 했다”고 말했다.
소상공인 손실보상은 “하한액을 1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올리고, 피해인정율도 80%에서 100%까지 상향하면 6천억원 정도가 더 들어간다”다는 것이 윤 원내대표의 설명이다. 이에 더해 윤 원내대표는 “경영위기업종이나 인원제한 업종 등 보상 사각지대 지원하려면 5조원 정도가 소요된다”고 추산했다. 여기에 “소상공인 융자확대를 3천억원 정도 증액하면 (소상공인 손실보상 확대에 필요한 예산이) 한 6조원 정도가 될 것”이라고 했다. 지역화폐 발행 예산과 관련해서는 윤 원내대표는 “이 부분도 행안위 논의를 거쳤다”며 “이것은 8천억원 정도를 증액 의결해서 예결위로 보냈다“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ch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