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인 이낙연 전 대표(가운데)가 13일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저출산 해결 공약 발표 기자회견을 한 뒤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13일 국회 본회의에서 ‘부친 투기 의혹’이 불거진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 사직안이 처리되자,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이낙연 전 대표의 사직안 처리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민주당 지도부는 이날 비공개 회의를 열어 이 전 대표의 사퇴안 처리 여부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고용진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최고위원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이 전 대표가 조속한 시일에 (사퇴안을) 처리해줄 것을 강력하게 요구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당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 처리하지 않고 이 전 대표의 뜻을 존중하면서 향후 처리를 어떻게 할 것인지 좀더 숙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준호 원내대변인도 이날 본회의에서 윤 의원 사직안이 처리된 직후 기자들과 만나 “본인의 의사를 충분히 존중하되 시기적으로 깊이 고려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전 대표는 지난 8일 “모든 것을 던져서라도 정권 재창출에 집중하겠다”며 의원직 사퇴를 선언한 바 있다.
그간 윤희숙 국민의힘 의원을 향해 ‘사퇴 쇼’라며 비판한 민주당으로서는 윤 의원의 사퇴안이 처리된 마당에 이 전 대표의 사퇴를 마냥 방치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반대로 사퇴안을 처리하게 되면 ‘정치 1번지’ 종로에서 보궐선거를 치러야 하는 부담이 생긴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본인이 결연한 의지를 보이는 상황에서 사퇴안 처리를 안 할 수도 없고 바로 처리하기도 좀 그런 상황”이라며 “정치적 상징성이 큰 지역인 종로에서 내년 재보궐 선거를 치르는 것에 대한 여러 고민들도 나온다”고 전했다.
이 전 대표의 뜻은 확고해 보인다. 지난 9일 국회 의원회관의 짐을 모두 정리한 이 전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민주당 대선 경선은 될 것 같은 사람이 아니라 대통령이 돼야 할 사람을 뽑는 과정”이라며 “저는 국회의원직을 던졌다. 이제 제가 가진 것은 없다. 대선 승리를 위한 절실함뿐”이라고 강조했다.
송채경화 기자
kh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