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부 쿠데타가 일어난 뒤 지난 2월7일 미얀마 양곤 거리에서 열린 시민들의 불복종 시위 도중 한 시민이 저항의 표시로 세손가락을 펴서 들고 있다. 양곤/로이터 연합뉴스
“우리들이 지금 군부에 반대하지 않으면 우리의 미래는 실패할 것이다.”
미얀마 군부 쿠데타에 반대하는 ‘시민 불복종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대학생 소나잉은 “내 또래 친구들이 군부에 저항하며 목숨을 바쳤다. 나보다 어린 친구들을 위해 싸울 것”이라고 다짐했다. 지난 2월1일 쿠데타로 민주정부가 무너진 이후 100일 넘게 불복종운동을 이어가고 있는 시민들의 목소리를 군부에 의해 해직당한 미얀마 기자들이 취재해 <한겨레>에 전해왔다.
불복종운동을 막아선 군부의 폭압은 잔혹하기 이를 데 없다. 어린아이들을 포함해 802명의 시민이 군의 총탄과 폭력에 희생됐고, 4천명 넘는 시민들이 체포됐다. 체포된 이들은 가혹한 고문을 받고, 국영방송은 고문 당한 청년들의 모습을 내보내고 있다. 시민들의 용기를 꺾어 불복종운동을 포기하게 하려는 ‘충격과 공포’의 만행이다. 수십년간 특권계층으로 군림해온 군부가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쿠데타를 일으키고 시민들을 짓밟고 있다.
미얀마 시민들이라고 어찌 두렵지 않겠는가. 하지만, 이들은 “피 흘리며 죽어간 동료들을 생각하며” “군부를 몰아내고 민주주의를 반드시 회복해야 한다 일념으로” 각자의 자리에서 싸우고 있다. 거리의 시위만 있는 게 아니다. 학교, 공장, 병원, 정부청사, 열차, 은행 등 일상 곳곳에서 시민들은 쿠데타에 맞서고 있다. 철도청 공무원들은 기차를 멈춰세웠고, 대학 교직원 2만4천명의 40%인 1만1100명이 불복종운동 참여로 정직을 당했다. 유엔 주재 대사부터 군인, 세계미인대회에 참가한 대학생까지 민주정부를 염원하며 온 힘을 다하고 있다. 군부도 예상하지 못했던 거대한 불복종운동의 도도한 물결이 군부에 큰 타격을 주고 있다.
하지만 현실의 무게는 버겁다. 군부의 협박을 받는 시민들 가운데 일자리로 복귀하는 이들도 있다. 4월 결성된 국민통합정부(NUG)는 연방민주주의헌장을 발표하고 소수민족 무장단체들과 연대한 군대를 창설했지만 버마족에 차별과 탄압을 받아온 소수민족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아직은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미얀마 시민들의 절박한 외침에 응답하지 못 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무기력은 국제기구의 역할에 대한 회의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난 4월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는 쿠데타 주역인 민 아웅 흘라잉 미야마군 최고사령관을 불러 ‘즉각적 폭력 중단’ 다짐 받았다. 하지만 약속은 바로 휴짓조각으로 변했고 군부에 면죄부만 준 꼴이 됐다. 중국은 국경을 접한 미얀마에서 자국의 안보, 경제적 영향력을 유지하는 것을 우선하며, 안보리의 역할을 막고 있다. 미얀마 군부는 중국을 보호막 삼아 시민들이 더 이상 버티지 못하고 항복하는 순간을 기다리고 있다.
‘5·18 민주화운동’ 41주년인 18일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앞 5·18 민주광장에서 시민들이 미얀마 사태를 다룬 민족미술인협회광주지회의 전시물들을 보고 있다. 광주/연합뉴스
미얀마 시민들에게, 미얀마의 오늘에서 1980년 5월 광주를 떠올리며 내 일처럼 진심을 다해 연대하려는 한국 시민들의 노력이 큰 힘이 되고 있다고 한다. 미얀마 시민들은 광주 시민, 한국 국민들이 그랬던 것처럼 민주주의를 이룰 날이 올 때까지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문재인 대통령은 5.18 민주화운동 41주년을 맞은 18일 “우리는 오늘 미얀마에서 어제의 광주를 본다”며 5월 광주가 미얀마의 희망이 되길 기원했다.
지금 미얀마 시민들에게는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연대와 실질적 도움이 절실하다. 유엔 안보리가 역할을 하지 못 한다면 우선 더 많은 나라들이 미얀마에 무기 수출을 중단하고, 미얀마 군부 소유 대기업과의 합작을 중단해야 한다. 미얀마 국영회사에 매년 수천억원의 배당금을 지급해온 포스코인터내셔널과 미얀마 가스전 사업을 해온 한국가스공사도 군부의 돈줄이 되지 않도록 분명한 조처를 취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