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 재보궐선거를 하루 앞둔 6일 오후 서울 강북구 한 재래시장에 투표소가 설치되고 있다. 연합뉴스
4·7 재보궐선거의 날이 밝았다. 전국 21개 선거구에서 광역단체장 2명과 기초단체장 2명, 광역의원 8명, 기초의원 9명을 뽑는 선거다. 특히 서울과 부산 시장을 새로 뽑는 선거란 점에서 그 정치적 의미는 매우 크다. 재보선 역사상 가장 높은 20.5%의 사전투표율이 보여주듯, 선거에 대한 관심과 참여 열기 또한 어느 재보선보다 뜨거워 보인다.
20대 대통령선거를 1년 정도 앞두고 치르는 이번 선거는 문재인 정부 4년간의 공과를 평가하는 성격을 띨 수밖에 없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땅 투기 사건으로 폭발한 부동산 정책에 대한 분노가 선거 기간 내내 가장 중요한 이슈가 되었던 건 그 점에서 필연적 결과일 것이다. 이와 함께 여야 정당에 어떤 경고와 질책을 하고, 새로운 시장에겐 어떤 기대를 담을지 모아서 유권자 한 사람 한 사람 빠짐없이 냉철한 한 표를 행사하는 게 절실하다.
여론조사 공표 시한까지 드러난 판세로만 보면 야당이 좀더 우세했지만, 이후 일주일간 민심이 어떻게 변했는지는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박영선 서울시장 후보를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연이어 ‘부동산 정책 실패’를 사과하고 지지를 호소하는 것을 보면, 좀처럼 쌓인 화를 풀지 않는 바닥 정서에 대한 위기감은 여전한 것처럼 보인다. 여당의 반성이 진정성이 있는지, ‘전셋값 선제 인상’ 등 여론의 질타를 받은 ‘내로남불’ 행태를 어떻게 평가할지, 부동산 대책을 한번 더 믿고 맡길 수 있을지 판단은 결국 유권자의 몫이다.
‘정권 심판’을 내세운 제1야당 국민의힘이 그에 걸맞은 자격과 책임의식을 갖췄는지 또한 냉정하게 따져봐야 한다. ‘내곡동 땅 의혹’과 관련한 오세훈 서울시장 후보의 잇따른 말 바꾸기와 거짓말 논란, 엘시티 소유권 변동과 관련한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의 석연찮은 해명은 이들이 과연 정권의 도덕성을 심판할 자질과 자격을 갖췄는지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재임 시절 벌어진 ‘용산참사’의 비극을 철거민의 저항 탓으로 돌린 오세훈 후보의 태도 역시 시민들에게 그 시절의 아픈 기억을 또다시 끄집어내게 한다.
부동산값 폭등과 ‘내로남불’로 상징되는 집권세력의 정책 실패와 표리부동을 심판할 것인지, 성난 민심에 무임승차한 성찰 없고 오만한 야당에 다시 한번 회초리를 들 것인지는 전적으로 유권자의 판단에 달렸다. 이제 선택의 시간이다. 한나절 뒤면 모습을 드러낼, 시민들의 현명한 판단 앞에서 모두 겸손해질 때다.